섹션

[사설] 다시 보는 세월호, 되새기는 슬픔과 고통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가라앉은 세월호가 어제 수면위로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그 동안 3년의 긴 세월이 흘렀다. 흐른 세월만큼 세월호의 모습은 크게 변했다. 가라앉을 당시 말끔하던 선체는 누렇게 녹슬고 찢기고 할퀸 처참한 모습이었다. 탑승자 304명의 목숨을 앗아간 선체를 바라보던 유가족들은 되살아난 슬픔과 고통에 다시 한번 오열하였다.

국민들의 마음도 착잡하기 그지없었다. 세월호는 이제 며칠 후면 목포 신항으로 옮겨질 예정이다. 길이 145m, 높이 24m, 너비22m의 거대한 모습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세월호 인양과 때를 같이하여 우리는 이제 처참한 비극을 마무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선 수습되지 못한 실종자 9명에 대한 탐색과 유가족들의 슬픔과 고통을 치유하는데 마음을 모아야 한다. 아름다운 꽃봉오리로 피어나지도 못하고 사라진 많은 학생들과 불의의 사고로 변을 당한 사망자들에게 다시 한번 명복을 빌고 그 유가족들이 이제 짙은 슬픔과 뼈아픈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위로해 줄 필요가 있다. 이제 치유의 매듭을 짓도록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와 더불어 안전 불감증에 시달리는 한국을 다시 재건하기 위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될 몇 가지 과제를 풀어야 한다.

첫째는 선체가 인양된 만큼 세월호의 침몰원인을 분명하게 밝혀야 한다. 검찰에서는 과적, 고박불량, 선체구조변경, 조작미숙 등 여러 가지 원인을 제시하고 있다. 이중에서 본질적으로 결정적 원인이 무엇인지 선체의 조사를 통하여 분명하게 그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는 다음 사고의 예방대책과 긴밀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지난 21일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특별법’도 발표된 만큼 정부가 노력하면 이제 조사는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세월호 사망자에 대한 구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원인을 재확인하고 앞으로은 긴급재난시 이런 실수와 잘못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차적 책임은 물론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자신들만 탈출한 선장과 선원들에게 있다. 그래서 이들은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 현재 수감 중에 있다. 그러나 구조부실의 잘못은 이들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통령에게 사고에 대한 보고용 자료를 만드느라 촬영을 하다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쳐버린 해경과 해운항만에 관한 관련공무원들의 책임도 결코 가볍지 않다.

또한 긴급재난에 대응하는 대통령의 성실하지 못한 직무태도 또한 국민의 지탄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비록 적절하지 못한 업무태도가 대통령의 파면사유가지는 되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국민 수백명이 죽어가는 긴박한 선박사고에 당일 박 전대통령이 보여 준 처신은 결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책임진 이 나라 최고 통치자의 자세는 분명히 아니었다. 박 전대통령이 탄핵으로 파면된 것이 세월호사건 때문은 아니지만 헌법상 부과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수호할 의지가 보이지 않았던 것은 간접적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제 세월호가 인양된 것을 계기로 우리나라를 안전하고 살기 좋은 나라가 되도록 정부와 국민 각자가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런 노력만이 세월호 사고로 비명에 간 304명의 사망자들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고 그 유가족들의 슬픔을 위로하는 길이다.

-
골든 타임을 놓펴 수많은 생맹을 잃은 세월호 침몰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