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국기업 디폴트 우려…인민은행, 자금공급 확대 창구지도

중국

경기 성장 둔화, 미중 무역갈등의 여파 속에서 중국 기업들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자 중국 중앙은행이 자금 경색에 빠진 기업들에 유동성이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사실상의 개입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19일 중국 제일재경(第一財經)에 따르면 전날 인민은행은 창구지도 형식으로 중기유동성지원창구(MFL)로 투입된 자금을 활용해 대출 및 회사채 투자를 확대하라고 시중은행에 지시했다.

특히 인민은행은 신용 등급이 'AA+' 이하인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에도 투자하라고 요구했다.

중국에서 'AA+' 이하 등급은 '정크 본드'(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하는 고수익 채권)로 인식된다. 중국의 은행은 보통 'AA+' 이하의 비우량 채권에 투자하기를 꺼린다는 점에서 인민은행의 이번 요구는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인민은행의 이번 조치는 올해 중국 회사채 시장이 크게 흔들리며 많은 기업이 자금난에 몰리자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중국 기업의 채무불이행 규모는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기업이 갚지 못한 공모채권은 이미 165억 위안(약 2조7천600억 원) 규모로, 디폴트 규모가 사상 최대였던 2016년의 207억 위안(약 3조4천600억 원)의 80% 수준에 육박했다.

이달 들어서도 상장사인 융타이(永泰)에너지가 114억위안(약 1조9천억 원) 규모의 디폴트를 내 시장에 큰 충격을 줬다. 이는 올해 들어 단일 사례로는 가장 큰 규모다. 상장사인 이 회사의 총부채는 722억위안(약 12조 원)에 달해 디폴트 규모가 더 커질 우려가 있다.

중국 기업들은 2015∼2016년 금리가 바닥을 치던 시절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은행 시스템 밖의 '그림자 금융'을 이용해 공격적인 차입 경영에 나섰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2016년부터 과잉 부채에 대한 위기의식 속에서 부채 축소(디레버리징) 정책을 펴나가고, 강력한 그림자 금융 규제·단속에까지 나서면서 자금 조달이 점차 어려워졌다.

1년 만기 회사채 금리는 2016년 4.5%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7% 수준으로 뛰어오른 상태다.

이처럼 회사채 시장에서 위기감이 번지는 가운데 최근 들어 각종 실물 경제 지표가 악화하고, 설상가상으로 미국과 무역전쟁까지 전면전으로 치달으면서 그간 부채 축소에 초점을 맞춰 '신중하고 중립적인' 통화정책을 펴온 인민은행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인민은행은 올해 들어 지난 1월과 4월 한 차례씩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한편 MFL와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등 정책 수단을 활용해 부분적으로 유동성을 추가 공급하고 있어 일각에서는 큰 틀의 통화정책이 변화하는 조짐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인민은행은 18, 19일에도 역레포로 800억위안(약 13조4천억 원), 700억위안의 자금을 풀었다. 앞서 16∼17일에도 같은 방식으로 3천900억위안을 공급했다.

다만 인민은행은 공개적으로는 '신중하고 중립적인' 통화정책에 아직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는 입장이다.

관영 신화통신은 "중국은 성장과 위험 방지 차원에서 올해도 신중하고 중립적인 화폐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며 "인민은행은 유동성을 더욱 유연하고 목표 지향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준금리나 지급준비율 변화보다는 공개시장 조작 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