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은행이자 최고의 골칫거리인 씨티그룹이 국유화 수순이 돌입했다.
미 재무부는 27일(현지시간) 250억달러의 씨티그룹의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해 정부 지분을 8%에서 36%까지 확대하는데 합의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에 따라 씨티그룹은 금융위기의 파고를 넘지 못하고 결국 국유화의 길을 걷게 된다.
이번 합의에 따라 씨티는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275억달러 규모의 우선주에 대해 보통주로 전환할 것을 제안하게 된다.
전환가격은 지난 26일 종가(주당 2.46)에 32%의 프리미엄이 붙은 주당 3.25달러다.
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이뤄지면 현재 보통주를 보유한 기존 주주들의 지분은 26%로 낮아지게 된다.
미 정부뿐 아니라 싱가포르 투자청과 알왈리드 사우디 왕자 등 우선주를 보유한 여타 투자자들도 이번 보통주 전환 조치에 동참할 예정이다.
정부가 보유중인 나머지 200억달러 규모의 우선주는 8%의 현금배당을 받는 '선순위 우선주(Senior preferred stock)'로 전환하게 된다.
씨티그룹은 지난해 미국 정부로부터 450억 달러의 자금 지원과 3천억달러 규모의 지급보증을 지원받았으나, 막대한 손실과 주가 폭락으로 위기설에 시달려왔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자금지원 과정에서 씨티그룹 지분 7.8%를 우선주 형태로 취득했다.
씨티그룹은 이번 정부의 소유권 확대 조치는 추가적인 정부의 공적자금이 투입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재무부는 보통주 전환과 함께 새로운 독립이사(independent director)들을 중심으로한 이사회 개편도 요구했다.
씨티그룹측은 리처드 파슨스 회장이 이끄는 이사회를 조만간 개편하기로 했으며, 다만 비크램 팬디트 현 최고경영자(CEO)는 자리를 유지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