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조선왕 고종의 국새 원형, 내함·외함·국새

대한제국의 사라진 국새(國璽)를 찾았다.

고종 황제가 사적인 친서에 사용한 현존하는 유일한 대한제국기(大韓帝國期)의 국새다. 분실된 줄만 알았던 국새를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정종수)이 국외반출 중요문화재 구입 과정에서 2008년 12월 찾게 됐다.

국새는 전체높이 4.8㎝, 무게 794g으로 외함이 분실되고 내함만 남아있었다. 손잡이는 거북형이며, 비단실로 짜여진 끈이 달려 있다.

정사각형의 인장면에는 ‘皇帝御璽’(황제어새)라고 양각돼 있다. 황동 재질 내함은 2단이며 하단에는 인주를 넣고, 그 윗단에는 국새를 넣도록 돼있다.

네 면이 경사진 뚜껑의 하단에는 붉은 비단이 접착돼있고 국새가 들어가는 상단은 두께 0.5㎝의 소나무로 내곽을 만든 뒤 붉은 천을 붙여 마무리했다.

거북형 손잡이의 성분은 은과 금의 비율이 81대 18이며, 몸체는 57대 41의 비율로 은이 많이 사용됐다. 손잡이와 몸체가 따로 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국새의 글씨 중 황제의 ‘皇’(황)은 일반적으로 ‘白’의 아래에 ‘王’을 두지만 이 어새에서는 ‘自’의 아래에 ‘王’이 표기돼 있다. 당시에 제작된 각종 고종 친필 비석군(碑石群), 어보(御寶), 의궤(儀軌) 등에서도 ‘皇’자는 모두 ‘自+王’으로 적혀 있음을 확인했다.

고종 황제가 국가환난의 조짐이 보이던 1903~1906년 독일, 이탈리아, 러시아, 프랑스 황제에게 보낸 10여통의 친서에 2종류의 황제 어새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된다. 하나는 1903년에 이탈리아 황제에게 보낸 친서 등에 사용된 것으로 글씨체가 둥글고 전체적으로 부드럽다. 다른 하나는 1906년에 러시아황제 등에게 보낸 친서 등에 사용된 것으로 글씨체가 각이 지고 반듯하다.

이번에 확인된 국새에 대한 제작기록은 찾을 수 없었으나 “문화각(文華閣)의 옥새와 책문(冊文) 등을 보수하도록 하다”라는 고종실록의 기록(광무 5년 11월16일)으로 미루어 1901~1903년에 제작돼 1903년에 이탈리아 황제에게 보낸 친서 등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궁박물관은 “이 국새는 ‘대한국새’, ‘황제지보’ 등이 주로 사용되던 공문서가 아닌 친서에 주로 사용된 점으로 미뤄 비밀리에 제작돼 고종황제가 직접 소지하고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원래 국새는 상서원(尙書院)에서 관리하는 것이 상례이나 황제가 이 국새를 직접 소지하고 관리한 점은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이나 긴장감을 드러내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또 “동 시기에 만들어진 의례용 어보(御寶)와 실무용 국새(國璽)를 비교해보면, 어보의 무게는 3.4㎏으로 국새의 4배에 달하며 크기에도 큰 차이가 있다. 어보는 은과 구리가 주성분인 반면, 국새는 은과 금으로 제작돼 의례용과 실제 사용에서 구별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전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국새를 국가지정문화재인 국보로 지정 신청할 예정이다.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고종관련 자료 전시에도 활용하는 방안을 계획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