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한국재경신문]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단기급등의 피로를 풀고 일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85.78포인트(1.15%) 내린 7,400.80에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S&P 500지수도 10.31포인트(1.30%) 하락한 784.04를, 나스닥 종합지수도 7.74포인트(0.52%) 내린 1,483.48를 각각 기록했다.
이날 주가는 개장초만 해도 전날의 상승세를 이어가는 듯 했다. 그러나 최근 단기급등에 따른 반발매도세 유입과 투자자들 사이에 미 연준의 국채 매입 효과를 일단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우세하면서 장중 약세로 전환했다.
또 이날 발표된 고용시장지표가 기대치를 밑돌며 증시에 부담이 됐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 신규 실업급여 신청자수가 64만6천명으로 집계돼 1주일전보다 1만2천명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신규 신청자수는 7주 연속으로 60만명을 넘어섰고 전체 실업자수는 547만명으로 집계돼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날 주가 하락은 최근 급등했던 금융주들이 주도했다.
씨티 그룹은 15% 가까이 하락했고, 웰스파고와 뱅크오브어메리카 역시 각각 11%, 10%씩 떨어졌다. 반면 최근 `보너스 파문'에 휩싸인 AIG는 13.8%가 올랐다.
켄 타워 마켓 스트래티지스트는 "최근 금융주들이 급상승하면서 수많은 매도 포지션 정산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현재까지는 금융주들에 대한 긍정적 전망과 부정적 전망 사이에서 단정해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 FRB가 3천억 달러의 국채 매입 및 7천500억 달러의 모기지 담보증권 추가 매입 계획을 발표한 지 하루만에 투자자들은 미 중앙은행의 1조 달러가 넘는 현금 투입이 경기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겠지만, 달러화의 약세와 이로 인한 미국내 인플레이션 압박 우려 등 잠재적 불안함에 대해서도 저울질하기 시작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섀퍼스 인베스트먼트의 토드 살라몬 수석 부회장은 "충격적인 발표에 대한 초기의 행복감 이후 향후 미국 경제가 어떻게 진행될 것인지, 이로 인한 몇가지 문제점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국제유가는 급등했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4월 인도분 가격도 배럴 당 3.47달러(7.2%) 상승한 51.61달러로 마감하며 50달러선에 올라섰다. WTI 종가는 작년 11월28일 이후 최고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