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연준 회의록 "인플레이션 개선될 때까지 금리 동결할 것"

지난 1월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위원들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정책의 불확실성 속에서 금리를 동결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고 20일(현지 시각) 블룸버그 통신은 보도했다.

1월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록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경제가 최대 고용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한다면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추가로 조정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추가 진전을 보고 싶다고 말했다"라고 말했다.

19일 워싱턴에서 공개된 회의록에 따르면 많은 참가 위원들이 경제가 강세를 유지하고 인플레이션이 계속 상승한다면 위원회가 정책 금리를 제한적인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당시 회의에서 위원들은 연준의 기준 정책 금리를 4.25%~4.5% 범위로 유지했다.

회의록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금리를 0.25%p 인하한 후 연준 정책 입안자들이 취하고 있는 신중한 접근 방식을 강조했다.

몇몇 관리들은 또 다른 금리 인하를 뒷받침하기 전에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치인 2%로 더 낮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선물 시장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현재 올해 한 차례의 금리 인하와 두 번째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일부 관리들은 워싱턴에서 또 다른 부채 한도 대결이 벌어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연준은 현재 매월 최대 250억 달러의 국채와 350억 달러의 모기지 담보부 증권의 만기를 반환된 원금을 재투자하지 않고도 연장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1월에 미결제 부채에 대한 법적 한도에 도달했다.

이후 재무부는 연방 정부의 비용 지불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 소위 특별 조치를 취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부채 한도를 4조 달러까지 인상하는 하원 공화당의 계획을 지지했지만 협상하는 데 몇 달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정책 입안자들은 또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 계획의 시행과 그것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시하고 있다.

연준
[로이터/연합뉴스 제공]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무역 파트너에 대한 관세 인상과 이민 단속을 포함한 의제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 두 가지 모두 인플레이션, 노동 시장 및 경제 성장 전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회의록에 따르면 정책 입안자들은 경제의 위험을 대략적으로 균형 잡힌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상승 위험을 지적했다고 말했다.

회의록은 “참가자들은 무역 및 이민 정책의 잠재적 변화, 지정학적 발전이 공급망을 교란할 가능성, 예상보다 강한 가계 지출의 잠재적 영향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리들은 “적절한 통화 정책 하에서 인플레이션이 2% 목표를 향해 계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정책 입안자들은 "연초 인플레이션 데이터에서 계절적 왜곡을 완전히 제거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평소보다 수치를 해석하기가 더 어려울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회의록은 “많은 참가자들은 시장 혼란의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국채 포트폴리오의 만기 구성을 국채 만기에 더 가깝게 만드는 방식으로 매입을 구성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는 견해를 표명했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