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쌍용차 감원책..노조ㆍ채권단이 변수

◇채권단 반응 변수 = 법정관리 절차의 속성상 쌍용차의 존망을 가르는 `칼자루'는 채권금융기관이 쥐고 있다.

이날 감원책을 포함한 쌍용차의 자구계획에 대해 채권단이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느냐에 따라 계획이 그대로 이행될 수도 있고 대폭 수정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채권단의 입장에서는 쌍용차가 내놓은 37%의 감원 규모가 불충분하다고 판단할 가능성이 있다.

쌍용차의 올해 1분기 생산량은 6천358대로, 지난해 1분기 생산량인 2만5천691대와 비교하면 24.7%에 불과한 물량이다.

이처럼 경기침체로 생산을 급격히 줄여야 하는 실정에서 감원이 37%에 머무르면 나머지 고용 부담을 결국 채권단이 떠안아야 하므로 더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할 수 있다.

만약 법정관리 절차 중에 쌍용차의 인수합병(M&A)이 추진되더라도 채권단은 부담스러운 인력 구조를 갖춘 회사를 매각하기 보다는 과감한 구조조정이 이뤄진 상태에서 팔기를 원할 가능성이 높다.

채권단은 쌍용차가 작성할 회생계획안에 대해 가부를 결정하는 주체인 만큼 이날 발표된 자구계획과 스스로 판단한 적정 감원 수준이 얼마나 합치되는지가 변수가 된다.

◇기업조사 결과에서 존망 갈릴 듯 = 쌍용차가 계속 법정관리 체제를 이어갈 수 있을지 아니면 청산 수순을 밟아야 하는지는 현재 회계법인이 진행하고 있는 기업조사 결과에 따라 달라진다.

기업가치 조사는 쌍용차의 자산들을 팔았을 때의 액수와 회사를 계속 운영했을 때 나오는 영업이익의 합계치를 비교하며 어느쪽이 더 높은지 따지는 작업이다.

다음달 6일 완료되는 기업가치 조사에서 쌍용차의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더 높으면 쌍용차 관리인이 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회생계획안을 작성하는 수순으로 넘어가지만 청산가치가 더 높다면 법정관리 절차는 폐지된다.

고용 비용도 회사 가치를 따질 때 반영하는 중요 항목이 된다. 조사위원 역할을 수행하는 회계법인은 이날 쌍용차가 발표한 감원 계획을 살펴 보면서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