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美 클린턴 장관, 北 테러지원국 재지정 검토 중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문제를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클린턴 장관은 7일(현지시간) 미국 ABC방송의 '디스 위크'에 출연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하는 문제와 관련해 "우리는 이 문제를 들여다볼 것이며 이를 위한 절차가 있다"며 "북한을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한 것은 목적이 있었는데 그러한 목적이 분명히 그들의 행동에 의해 좌절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클린턴 장관은 북한의 핵확산 활동을 저지하고자 자금통제 등을 비롯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핵물질을 선박을 통해 운반할 경우 "이를 저지하고 방지하고 자금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다할 것"이라면서 "지금 미국 정부가 북한에 대해 효과적이고 의미있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아마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군비경쟁이 촉발될 것이며, 이는 누구도 원치 않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그는 북한의 핵실험 등 최근의 호전적인 행위는 "한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미국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이 한층 더 긴밀한 협력을 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현재 중국과 러시아까지도 북한에 대해 무기금수 등의 조치들을 전적으로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6일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은 프랑스 노르망디 상륙작전 65주년 기념식에 참석하면서 북한 도발에 '제재'를 가하겠다는 언급을 했다.

이날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행동은 지난 몇개월 동안 극단적으로 도발적이었다"며 "나는 언제나 외교적인 접근법을 선호했지만 상대방 역시 문제 해결을 위해 진지하게 나와야 하는 것임에도 우리는 북한으로부터는 그같은 자세를 보지 못했고, 때문에 우리는 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북한에 대한 제재 방안이 논의되고 있음을 밝혔다.

6자회담 당시 북한이 핵검증이라는 약속을 해놓고도 이행치 않으며 두 차례의 핵실험과 로켓, 미사일 발사하는 상황에서 '도발에 대한 대가를 주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