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먼 존슨 미국 MIT 슬론 비즈니스스쿨 교수가 세계 경제위기는 끝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존슨 교수는 23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세계은행 개발경제회의(ABCDE) 기조연설과 기자회견에서 "세계 경제 위기가 끝났는지를 물어본다면 '아니오'라고 답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세계 금융시장에서 어느정도 안정이 이뤄지고 있지만 위기는 끝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 상황을 유발한 여건들이 그대로 남아있고 악화했다"고 밝혔다.
그는 세계 금융위기의 원인을 미국 금융 부문에 대한 방임을 꼽으며 이들 금융기관에 막대한 자금만 투입해서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존슨 교수는 "2000년 이후 미국에서는 금융 부문에 대해서 '하고 싶은 데로 내버려 두는 게 좋다'는 분위기가 형성됐고 결국 금융위기로 연결됐다"며 "이제 쉽게 고치기도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또 "미국 정부가 미국 금융기관에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으면서 전반적인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며 "미국 주요 은행들은 정부의 대규모 지원으로 부채를 늘렸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개인적으로 다른 전문가들이 말하는 것보다 좀 더 빨리 인플레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하지만 내년까지는 인플레 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존슨 교수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금리를 올릴 가능성에 대해서 "동결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이제는 신용팽창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쏟아야 할 때"라며 "적극적으로 팽창정책을 취하면 향후 발을 빼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지금은 공세적 태도를 누그러뜨려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위기 이후 신흥공업국 역할에 대해 말하며 한국에 대해 언급했다. 존슨 교수는 "신흥공업국으로 힘의 이동이 이뤄지고 있고, 한국이 G20의 의장국이 된 것은 긍정적"이라며 "국제통화기금(IMF)의 차기 총재도 신흥시장 출신이면 괜찮을 것으로 위기를 겪은 한국도 후보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오는 24일까지 개최될 ABCDE는 세계적 지도자와 저명한 학자 등이 개도국의 경제개발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방안 등을 찾기 위해 다양한 주제로 토론하는 세계적 콘퍼런스다. 지난 1988년 첫 회의를 개최한 이래 올해로 20회째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