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무역흑지가 190억에 달할 것이며, 6월 무역흑자의 경우 지난달 예상했던 4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또 상반기 수출 규모는 1천63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3% 가까이 하락하고, 수입은 1천44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지식경제부는 25일 삼성동 무역센터에서 주요 수출기업과 수출 지원기관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하반기 수출입동향 점검회의'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수출 감소와 관련해서 지경부는 지난 4월 수출물량은 전년 평균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회복됐지만, 수출 단가의 하락으로 전체적인 수출 감소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또 지경부는 하반기 수출은 상반기에 비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며 수입은 24% 내외 감소, 수출은 16% 감소 정도로 예상되며 전체 무역흑자는 250억 달러 규모로 예측했다.
특히 11월을을 지나면 지난해 같은 달 수출입이 급감한 영향으로, 수출입 모두 증가세로 전환할 것이라고 지경부는 예측했다.
업종별로는 조선업이 2년치 이상의 수주 물량을 확보하고 있어 하반기에는 수출이 전년동기 28.6%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고, 액정디바이스 수출도 중국의 경기부양, 미국의 디지털 방송 전환 등에 힘입어 45.8% 증가할 전망이다.
또 지경부는 ▲무선통신기기(13.3%) ▲반도체(14.5%) ▲가전(6.7%) ▲섬유(4.3%)는 하반기 들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했으며, ▲석유화학(-7.5%) ▲철강(-25.3%) ▲일반기계(-33.1%) ▲자동차(-32.0%) ▲자동차부품(-28.3%) ▲석유제품(-44.7%) 등은 수출감소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윤호 지경부 장관은 "수출이 감소했지만 경쟁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전한 것"이라며 "한국의 월간 수출은 3월 이후 280억달러대를 회복한 반면 영국은 270억달러, 캐나다는 260억달러대에 정체됐다. 이들 나라를 제치고 한국이 올해 안에 수출 10대 대국에 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이 장관은 "선제적으로 수출 보험과 보증을 확충하고 해외 마케팅을 집중 지원하겠다"며 "수출 총력 지원 체계를 하반기에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