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향후 20년을 내다본 저탄소 녹색도시 청사진을 제시했다.
시는 2030년까지 민자 유치를 포함해 총 44조원을 투자해 서울을 세계적인 녹색도시로 육성할 계획안인 '저탄소 녹색성장 마스터플랜'을 2일 발표했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시는 △녹색일자리를 100만개 창출하며 △온실가스를 40% 감축하고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적응하는 도시를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선 서울시는 정보기술(IT),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기반을 활용해 서울형 10대 녹색기술(GT)을 육성, 100만개의 녹색일자리와 170조 규모의 녹색시장을 창출할 계획이다.
10대 녹색기술은 수소연료전지, 태양전지, 전력IT, 그린빌딩, 조명용 LED, 그린IT, 그린카, 도시환경재생복원, 폐기물자원화, 기후변화적응기술이다. 시는 향후 20년동안 연간 1천억 원씩 약 2조원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체계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또 시는 2030년 온실가스를 1990년 대비 40%, 에너지사용량은 20%까지 감축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2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2천㎡ 이상 건물 1만동을 그린빌딩화하고 △신축건물의 친환경건축물 취득을 100% 의무화하며 △대중교통수단은 100% 그린카로 전환하고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을 70% 확대한다. 또 △간선도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207km 조성해 수단분담률을 10%까지 높일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도시 차원의 기후변화적응대책도 강화한다. 실제로 서울은 기온상승률이 대한민국 평균의 2배, 지구평균의 3배에 이를 만큼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에 악조건을 갖추고 있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시는 기후변화에 대비한 통합대응시스템을 구축해 △전염성질환 △폭염 등 고온화 △기상재해 △물부족 △생태계 교란 5대 분야를 집중관리할 계획이다.
또 폭염과 황사 등 유형에 따른 맞춤형 의료보호장비를 개발 보급하며 기후친화적 도시관리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기후영향을 고려한 도시설계 및 개발 기준을 정립할 방침이다.
시는 계획안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고자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맑은환경본부장을 책임관으로 지정했다. 또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 및 실행계획과 연계해 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지방녹색성장위원회도 구성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시민과 전문가, 유관기관 등의 추가 의견수렴을 거쳐 세부 종합실행계획을 올해 하반기 중에 마련할 계획이다.
김기춘 서울시 맑은환경본부장은 "건물, 도시계획, 교통 및 일상생활에 이르는 도시 전방위적 그린혁명을 실천해 2030년까지 세계 최고의 녹색경쟁력을 이끌어 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