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데이터 파괴 대란'이 우려됐으나 집계 결과 그 피해 결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이 유형이 10일 0시를 기해 감염된 PC의 데이터를 파괴하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 들었다.
0시를 기해 악성코드가 활성화 되고 1시간 30분 동안 8대의 좀비PC가 피해를 입었다는 신고가 들어와 'PC 데이터 파괴 대란'을 우려했으나 현재까지 큰 피해는 나타나고 있지 않다.
신종 악성코드에 감염된 좀비PC가 2만여 대에서 공격횟수를 더할 수록 증가했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예상했던 만큼의 피해는 낳지 않았다.
또 9일 오후 6시부터 시작된 3차 공격은 정부와 미간의 사전 준비와 대처로 특별한 피해를 입지 않았다. 정부는 악성코드를 전파한 5개 숙주 사이트를 추적차단 후 DDos 공격의 위력이 약화되는 상황이다.
이는 새벽부터 언론매체 등을 통해 PC파괴 악성코드의 활동을 막을 수 있는 방법과 전용 백신 사이트에 대한 홍보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DDoS 공격의 경우 좀비PC의 이용자는 피해를 입지 않고, 공격 대상 사이트만 접속 장애를 일으켜 백신 설치에 대한 경각심이 낮았으나, 신종 악성코드는 좀비PC에 직접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백신 설치가 급증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DDos공격은 어제 오늘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그 동안 중소 규모의 공격이 있어왔지만 정부와 수사기관은 이에 대한 대비책을 세우지 않았다.
실제로 한 사이버수사팀 담당형사는 "DDos 공격은 대부분 서버가 해외에 있어 수사영역에서 처리할 수 없어 외교의 문제"라고 말하는 등 대처방안이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사건을 통해서 정부는 사설업체에만 의존하는 관행을 버리고 국가 보안과 경쟁력의 재고를 위해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대책반이 상존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