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월 무역흑자가 사상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관세청이 발표한 '6월 수출입 및 무역수지 동향'에 따르면 무역수지는 지난 5월(50억 6천만 달러)보다 22억1천만 달러 많은 72억 7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2월부터 5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고, 1952년 무역통계 작성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6월 수출이 크게 증가한 것은 반기말에 기업들이 상반기 말 해외 실적 달성을 위해 수출 물량을 밀어내는 이른바 '반기말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수출은 326억 3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2.4% 줄어 지난해 11월 이후 8개월 연속 마이너스 증가율을 보였다. 수입도 253억 6천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32.9%로 8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하지만 수출액과 수입액을 합한 6월 교역량은 580억달러로 전달(512억달러)에 비해 13.2% 증가했고, 지난 11월 이후 가장 많은 액수를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미국 수출이 32억 7천만 달러로 지난해 동월보다 22.4% 감소햇으며, 수입은 23억 9천 600만 달러로 25.9% 줄어들어 무역수지는 8억 7천 500만 달러 흑자를 보였다.
중국 수출은 73억 3천 100만 달러로 15.9% 감소했으며, 수입은 35.6% 줄어든 44억 800만 달러를 기록해 29억 2천 200만 달러의 흑자를 냈다.
일본과의 교역에서 수출은 29.5% 줄어든 18억 3천 100만 달러, 수입은 22.8% 감소한 39억 8천 900만 달러로 21억 5천 700만 달러의 적자를 냈다.
유럽연합(EU)에 대한 수출 43억 200만 달러, 수입 28억 3천 900만 달러는 각각 2.0%, 21.5% 줄어 총 14억 6천 200만 달러의 흑자를 보였다.
중동에 대한 무역수지 역시 14억 9천 700만 달러의 적자를 봤다. 수출이 25.2% 감소한 27억9천500만달러였고, 수입은 54.4% 감소한 42억 9천 200만 달러를 보였기 때문이다.
한편, 5월 수출액 확정치는 이달 초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잠정치보다는 3억 7천만달러, 수입은 2억4천만달러 감소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잠정치(74억 4천만 달러)보다 1억 7천만 달러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