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취업난에도 한국의 실업률 증가세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기획재정부밝힌 OECD '5월 회원국 실업률 동향'에 따르면 한국의 실업률은 전년동월대비 0.8% 포인트 늘어 OECD 평균 2.4% 포인트보다 훨씬 낮았다.
5월에 전년 동월 대비 실업률은 독일이 0.3% 포인트 증가에 그쳤고, ▲네덜란드(0.4% 포인트) ▲오스트리아(0.7% 포인트) ▲한국(0.8% 포인트) ▲폴란드(0.9%포인트) 순이었다.
반면 스페인은 5월 실업률이 전년동월대비 8.2% 포인트 올라 증가세가 최고였으며 ▲아일랜드(6.2% 포인트) ▲미국(3.8% 포인트) ▲스웨덴(3.3% 포인트)이 뒤를 이었다.
OECD는 회원국의 5월 평균 실업률은 전월 동월 대비 2.4% 포인트 증가했지만, 독일과 한국 등의 실업률 증가세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한국의 실업률을 전년동월대비 기준으로 올해 ▲1월에 0.3% 포인트 증가한 이후 ▲2월 0.4% 포인트 ▲3월 0.6% 포인트 ▲4월 0.6% 포인트 ▲5월 0.8% 포인트 ▲6월 0.8% 포인트를 기록하며 꾸준히 늘었다. 따라서 근본적인 고용시장 상황은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