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30·40대 고용 無대책…2분기 최저

한국사회의 중심축인 30~40대 연령층의 고용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정부의 정책적 배려에서 이들이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4~6월) 30대의 취업자수는 586만2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만3천명, 3.5%나 줄었다. 이는 IMF 환란 직후인 1999년 1분기(1~3월)에 23만3천명(3.8%)이 줄어든 이후 최대폭이다.

전년 동기 감소인원이 20만 명을 넘어선 것도 지난 10년간 한 번도 없었으나 이번에는 훌쩍 넘었다.

특히 30대 여성의 타격이 컸다. 올해 2분기 30대 여성 취업자 증감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4%를 기록하며, 전분기 -5.8%보다 더 악화했다. 또  30대 여성 취업자 증감률은 작년 3분기 이후 계속해서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이는 여성 직장인이 경제위기 때 남성보다 쉽게 해고당하고, 경기회복 시점에도 남성보다 늦게 취업되는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30내 남성의 취업률 증감률은 -1.8%에 그쳐 여성보다 형편이 나았다.

매 분기 신규 취업자가 전년 동기보다 늘어나던 40대의 고용도 성장세가 꺾였다. 40대의 2분기 취업자수는 656만1천명으로 작년 동기에 비해 2만7천명(0.4%)이 줄었다. 분기별 40대 취업자수가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것은 98년 4분기에 -2.1%를 기록한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이에 비해 20대 취업자 증감률은 1분기에 취업자 증감률이 -4.5%로 바닥을 찍고 2분기에 -1.8%로 감소세가 둔화했다. 50~60대의 경우에는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대와 50대 이상 고용시장의 호조는 청년인턴사업과 희망근로사업의 혜택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중간 연령층의 고용사정이 악화한 것은 30~40대의 경우 특별히 도움이 될만한 지원책이 없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희망근로사업으로 생긴 25만 개 일자리 중 24.5%가 50대에게 돌아갔지만 40대 17.1%, 30대는 8.4%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