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세계 각국 지도자들이 깊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이들 지도자들은 김 전 대통령이 한국 민주화와 국제 평화에 힘쓴 점을 높이 평가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을 18일 애도성명을 발표하고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용감하게 싸워온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슬픔을 금할 길이 없다"며 "미국민을 대표해 유족과 한국 국민들에게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다.
또 오바마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은 한국에 역동적인 민주주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정치적 운동을 조직하고 이끌었다"며 "조국을 위한 봉사와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지칠 줄 모르는 노력, 자유를 위한 개인적 희생은 절대로 잊혀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애도의 조전을 보내며 "중국 국민의 가까운 친구였다"며 "김 전 대통령은 한·중 관계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중국 정부와 인민은 이를 잊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소 다로 일본 총리는 "김 전 대통령의 업적에 깊은 존경심을 표한다"라며 "21세기를 향한 새로운 한·일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평가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 전 일본 총리도 "아시아를 대표하는 지도자로서 손색 없을 만큼 훌륭한 업적을 남겼고 한·일 양국의 외교관계 개선에도 크게 기여했다"고 추모했다.
고든 브라운 영국 총리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한 김 전 대통령이 최근까지 세계 인권수호를 위해 노력해 왔다"라며 "김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 수호와 한국의 경제 발전을 위해 헌신한 분"이라고 애도했다.
프랑스 정부도 베르나르 쿠슈네르 외교부 장관 명의의 성명을 통해 "김 전 대통령은 민주주의와 자유를 위해 평생을 바쳐 끊임없이 투쟁한 용기 있는 정치인이었다"라고 평가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또한 조전을 보내와 "독일 정부를 대표해 귀하와 유족,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에게 심심한 애도를 표한다"고 전했다.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또하 18일 서한을 보내며 "저명한 정치인이자 노벨 평화상 수상자인 김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에 매우 애통하다"라고 슬퍼하며, 서한 말미에 친필로 직접 서명하며 조의를 표했다.
이 밖에도 노벨위원회, 인권 관련 국제단체 등에서도 애도의 뜻을 표했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는 " 민주화와 남북화해를 위한 김 전 대통령의 노력이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며 "우리는 그를 수상자로 선택한 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다"라고 전했다.
넬슨 만델라 재단에서도 "인권을 위해 싸우고 북한과의 화해를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 잊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