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민주화와 통일운동의 상징인 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영원한 안식에 들었다.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인 故 김 전대통령의 영결식은 서거 엿새 만인 23일 오후 2시, 국회 잔디마당에서 엄숙한 분위기 가운데 국장(國葬)으로 치러졌다.
이날 영결식에는 부인 이희호 여사 등 유가족과 이명박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 김영삼 전 대통령, 헌법기관장, 주요국 조문사절단, 각계 대표와 시민 등 역대 최대 규모인 3만명이 참석한 가운데 1시간 30분동안 거행됐다.
영결식은 애국가와 묵념곡 연주, 이달곤 행안장관의 약력보고, 장의위원장인 한승수 총리의 조사, 김 전 대통령 내외과 각별한 박영숙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장의 추도사 낭독 순으로 진행됐다.
한 총리는 "대통령님은 평생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와 민족화해를 실현하기 위해 헌신해 오셨다"며 "우리의 자랑스러운 역사로 영원히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치적 입장이 다르다는 이유로 서로 반목해온 해묵은 앙금을 모두 털어내는 것이 우리 국민 모두의 참 뜻일 것"이라며 "이제야말로 온 국민이 한 마음으로 새로운 통합의 시대를 열어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박영숙 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장은 "행동하는 양심이 되라는 마지막 말씀을 새기겠다. 우리가 깨어 있으면 당신이 곁에 계실 것을 믿는다"라고 말했다.
영결식은 천주교, 불교, 개신교, 원불교 순으로 종교의식이 진행됐고, 이어 생전영상 상영과 헌화·분향, 추모공연에 이어 3군 의장대의 조총 발사로 마무리됐다.
한편, 영결식 후 운구 행렬은 여의도 민주당사와 동교동 사저에 들른 뒤 광화문 세종로 네거리와 서울광장, 서울역을 거쳐 동작대교로 한강을 넘어 오후 5시경 서울 현충원에 도착할 예정이다. (사진=인터넷사진공동취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