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DTI규제 약발받아 강남권 ‘시들’

DTI규제가 매섭다. 강남3구에만 적용되던 DTI규제가 7일부터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부동산 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강남권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호가가 조정된 물건이 나오는가 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강북권, 경기권에서도 호가만 떨어지지 않았을 뿐 거래가 한산하긴 마찬가지다.

단기급등에 대한 부담감과 매수∙매도 호가 차이가 커 8월 들어 거래가 잦아들던 시장에 DTI규제가 쐐기를 박은 셈이다.

11일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가 금주 서울, 수도권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0.11%, 신도시 0.12%, 경기 0.08%, 인천 0.0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전주에 비해 상승폭이 둔화됐다. 재건축 역시 오름폭이 지난주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서울 재건축 변동률은 0.01%, 경기는 0.08%이다. 이 중 강동구(-0.09%)와 송파구(-0.03%)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강북권이 두각을 나타냈다. 중구가 0.65%로 상승폭이 가장 크며 이어 강북(0.27%), 강동(0.20 %), 동대문(0.16%), 동작(0.13%), 마포(0.12%), 영등포(0.12%) 순이다. 변동률만 보자면 지난주 상위권 지역에 비해 낮지만 강남권이 주춤하자 상대적으로 강북권의 오름세가 눈에 띈다.

중구는 대단지인 남산타운이 상승하면서 오름폭이 커졌다. 지난주 저가 매물이 소진되고 가격이 오른 것. 남산타운 85㎡의 시세는 3억8000만~4억5000만원으로 전주에 비해 750만원 상승했다. 강북은 2∙3억원대 아파트 가격이 오르면서 2위를 차지했다. 번동 삼성 92㎡는 2억2000만~2억5000만원으로 700만원 상승했다.

동작과 마포는 중소형 아파트가 매매가 상승세를 유지시키는 데 기여를 했다. 동작구는 사당동과 대방동 중소형 아파트의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가격이 상승했으며 마포는 상암DMC개발로 수요자들의 관심이 이어졌다. 또 모처럼 소형 주상복합 아파트의 시세가 상승해 눈길을 끈다. 주상복합인 서교동 대우미래사랑 46㎡는 시세가 1억6000만~1억7000만원으로 지난주에 비해 1000만원 상승했다.

 

반면 강남권은 강남 0.09%, 서초 0.07%, 송파 0.08%로 서울 평균(0.11%)에도 못 미쳤다. 강남권에서는 DTI규제가 새로울 것이 없으나 서울, 경기지역의 고가 주택시장이 얼어붙었을 경우 강남까지 파급력이 미치므로 매수세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또 대출규제로 인해 매수자는 아파트 가격이 떨어질 것을 의식해 매수타이밍을 늦춘 반면 매도자의 경우 규제에 대한 영향이 빨리 지나갈 것을 예상하면서 숨고르기 장세를 보였다.

신도시에서는 산본(0.20%)이 가장 높은 변동률을 기록했고 이어 중동(0.19%), 평촌(0.14%), 일산(0.08%), 분당(0.06%) 순이다. 분당의 경우 판교신도시 입주를 앞두고 상승세가 한 풀 꺾인 모습이다.

경기도에서도 외곽지역이 강세다. 외곽지역은 고가아파트가 많지 않아 DTI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곳. 하지만 이 곳 역시 시장 분위기를 타서 상승폭이 크지는 않다. 군포(0.29%), 광명(0.27%), 남양주(0.24%), 수원(0.22%), 안성(0.22%), 하남(0.19%), 구리(0.18%), 이천(0.18%) 순이다.

광명은 서울의 전세난으로 중소형 매수세가 형성되었으며 광명뉴타운 영향으로 인근 아파트의 호가가 상승했다. 철산동 주공10단지 49㎡(15평형)의 매매가는 전주에 비해 1000만원 오른 3억1000만~3억3000만원 선이다.

수원은 매탄동 주공4.5단지가 재건축 추진 동의서를 꺼내 들기 시작하면서 가격이 소폭 상승했다. 매탄동 주공5단지 89㎡(27평형)은 매매가 3억3000만~3억6000만원 선으로 지난주에 비해 1500만원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