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내 산업클러스터 전국 150개로 확대

미국의 실리콘벨리 같은 산업단지 내 기업, 대학, 연구소 등 관련 기관이 연계된 산업 클러스터가 국내에서도 150여개로 확대되어 구축된다.

지식경제부는 광역 중심의 새로운 지역산업정책과 산업단지간 연계·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산업단지 클러스터사업’을 5+2 광역체제로 전면 개편한다고 22일 밝혔다.

개편안에 따르면 산업단지는 기존 12개에서 5+2 광역경제권(충남·호남·동남·대경·강원·제주·수도권)에 맞춰 150개로 대폭 늘어나게 된다.

산업단지 클러스터사업이란 미국의 실리콘밸리나 일본의 도요타시처럼 기업이 집적된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인근의 대학, 연구소 등 관련기관을 연계해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지난 2005년부터 전국 12개 주요 산단을 선정, 산학연간 교류 활성화, R&D 지원 등 정부 주도로  육성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또한 150개 산업단지는 단위과제를 발굴 및 지원하는 25개 거점단지와 이에 따라 협의체 활동에 참여하는 125개 연계단지로 구분될 전망이다. 거점단지는 사업 주관기관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의 조직이 직접 관리를 하게 된다.

지경부는 효율적 사업지원을 위해 산단공은 기존의 3개 수도권 지역본부를 1개 본부로 통합하고, 충청∙강원본부를 신설하는 등 1본사, 6본부, 19지사를 광역형태로 전환한다.

향후 10년간 총 663억원 예산이 투입되는 이번 개편을 통해 각 산업단지들은 연계 및 협력을 강화하게 되며 해외 선진클러스터와의 기술교류, 투자상담 등 글로벌 경쟁력 강화 사업도 추진된다.

이와 관련, 나승식 지경부 지역산업과장은 “그동안 일부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하다보니, 사업성과가 외부로 확산되기 어렵고, 인근 산단의 기업 연구소 대학 등과 연계와 협력이 제한되는 경향이 있었다”며 “이번 사업개편으로 산학연 연계 활성화, 기업경쟁력 강화 등 다양한 시너지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지경부는 광역권 산학연 네트워크가 정착단계에 이르면 민간 주도의 자생적 클러스터로 점차 확대해 나갈 방침으로, 내년부터 거점단지 중 3∼5개 정도의 자생적 클러스터도 시범운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