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삼성전자,100년 기업위한 새 비전은 '영감과 창조'

삼성전자가 창립 40주년을 맞아 '미래사회에 대한 영감, 새로운 미래 창조'라는 新 비전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30일 서초사옥에서 「창립40주년 기념식 및 비전선포식」을 역대사장단, 협력사 CEO, 임직원 등 4백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새로운 경험과 가치를 제공해 인류의 삶을 이롭게 한다는 「비전 2020」'Inspire the World, Create the Future(미래사회에 대한 영감, 새로운 미래 창조)'를 발표했다.

삼성전자가 이번에 발표한 新비전은 신기술·혁신적인 제품·창조적인 솔루션을 통해 미래 사회에 대한 영감을 불어 넣고, 고객과 사회·임직원이 새로운 가치를 도모해 궁극적으로 인류사회의 번영을 가져오는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자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새롭게 발표한 목표는 2020년 매출 4,000억불,  IT업계 압도적 1위, 글로벌 10대기업으로 도약, 브랜드가치 Top5, 존경받는 기업 Top10, 친환경기업 Top-Tier 진입이다.

또한 삼성전자는 新기술 선도와 新시장 창출, 新라이프스타일 창출 등의 '창조경영'과 대내외 협력체제 구축, 상생경영, 친환경경영 등의 '파트너십경영', 다양한 인재들의 도전과 열정 고취, 최고의 전문가 양성 등의 '인재경영'을「비전 2020」실현을 위한 3대 방향으로 선정하고 새로운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기존의 세트와 부품 위주의 정보, 통신, AV 중심의 사업(Infotainment)구조에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위주의 의료/바이오, 환경/에너지, 편의/안락 등 '삶의 질 향상' 영역(Lifecare)을 새로운 사업영역으로 추가함으로써 21세기형 사업구조로 변신을 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또 ▲ 기존사업의 경쟁 우위 더욱 확대 ▲ 신사업, 신시장 발굴  강화 ▲ 마켓 드라이븐(Market-Driven) 체제 정착 ▲ 오픈 이노베이션(Open Innovation) 정착 ▲ 상생경영 확대와 친환경 리더십 구축 ▲ 창조적 조직문화 구현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글로벌 기업으로의 변신을 위해 현재 45% 수준인 해외인력 비중을 2020년에는 65%까지 확대하고, 한국에서 근무하는 글로벌직원도 현재 850명에서 2020년에는 2,000명까지 늘릴 예정이며, 대졸여성인력도 현재 9천여명에서 15,000명까지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999년 창립30주년 당시 10년 후 매출 100조원 돌파, IT업계 Top3 진입을 목표로 발표한 바 있으며, 10년이 지난 현재 이러한 목표에 이미 도달했고, 창립40주년을 맞아 현재의 4배 규모에 달하는 매출 4,000억불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를 통해 전자업계를 뛰어넘는 '글로벌 Top10' 기업으로의 도약을 다짐했다. 

한편 이 날 '창립40주년 기념식 및 비전선포식'에는 역대 사장단과 협력사 대표, 임직원 등 4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전선포와 축하 메시지 영상, 모범상, 특별상, 근속상 등의 시상식도 개최되었다. 삼성전자 이윤우(李潤雨)부회장은 창립 40주년 기념사를 통해 "창립 40주년을 맞아 지난 40년간 이룩한 성공을 넘어 '초일류 100년 기업'을 향한 창조적 도전을 시작하고자 한다"며 "일류기업을 넘어 글로벌 초일류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기존 틀 내에서의 Innovation 단계를 넘어 고객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개척자가 되어야 하며, 우리만의 차별화된 제품과 독창적인 Value Chain을 구축하여 산업의 변화를 주도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삼성전자의 40주년을 축하해 주는 각계의 영상 축하메세지를 자크 로게(Jacques Rogge) IOC위원장, 루디 줄리아니(Rudolph William Louis Giuliani) 前뉴욕시장, 김연아 선수가 전달해왔다. 자크 로게(Jacques Rogge) IOC위원장은 "삼성 역사 속에 멋진 이정표가 될 오늘을 축하하며 모든 이들에게 찬사를 보낸다"고 했고, 루디 줄리아니 前뉴욕시장은 前뉴욕시장은 "삼성은 훌륭한 사회적 기업으로 그 명성에 걸맞는 회사이다. 사회에 기여하기 위해 늘 고민하고 그 방법을 찾아 전자업계에 더 큰 업적을 남기고 있다"고 전했으며, 김연아 선수는 "일등은 화려하지만 그 만큼 자신과의 싸움이 필요하고, 저도 자만하지 않고 더 열심히 노력할테니 삼성전자도 힘내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이 되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우선 ▲기존사업의 경쟁 우위를 더욱 확대해 나가기 위해 메모리와 LCD, TV와 휴대폰 등 선도사업은 압도적 시장점유율과 영업이익률 달성 등을 통해 선두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생활가전, 컴퓨터, 프린터 등 6개 사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 현재 20% 수준인 육성사업의 매출 비중을 2020년까지 30%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둘째로 ▲신시장, 신사업 발굴을 강화해 나가기 위해 전자산업과 他산업간 융합을 통해 신시장을 개척하는 등 5~10년 후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바이오칩, 의료기기, u헬스, 태양전지 등 삶의 질 향상(Lifecare)분야 신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고객의 다변화된 욕구를 충족시키는 솔루션 사업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셋째로 ▲Market-Driven 체제 정착을 위해 현지 라이프스타일 및 고객 니즈 분석 역량을 제고하여 시장 특성별 차별적 마케팅 조직을 운영하는 한편 제품기획, 개발, 제조, 판매 전과정을 고객의 가치창출 관점에서 재설계하는 전사 마케팅 체제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넷째로 ▲Open Innovation 체제 정착으로 외부의 역량과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영시스템을 확립할 계획이며, 외부 연구기관 등과의 R&D파트너십을 확대하고, 他분야의 기업들과도 다양한 협력체제를 구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다섯째로 ▲상생경영 확대를 위해 사회공헌활동의 전문화, 체계화, 다변화를 실현하고, 협력사와의 상생과 Global Citizenship 등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한편, 친환경 경영기반 구축과 친환경 브랜드를 강화해 인류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해 나갈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조적 조직문화 구현을 위해 장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성과보상 시스템을 비롯한 글로벌 선진 인사시스템을 구축하고 글로벌 및 여성인력의 비중을 확대하는 열린 조직문화 구현, Work Smart체제 활성화, 창조적 성과관리 등으로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전세계 인재가 모이는 창조적 아이디어의 산실로 만들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