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청와대 “서해교전으로 남북 관계 악화 원치 않아”

청와대는 11일, 남북간에 전날 발생한 서해상 교전과 관련, 향후 남북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청와대 김은혜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만반의 안보태세를 갖춰나갈 것”이라면서도 “이번 사태로 남북관계가 악화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남북관계 개선에 이번 사태(교전)가 걸림돌이 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거듭 밝히며, 북한측 사과 요구에 대한 대응 방안에 대해  “그와는 관계없이 이것이 우리의 큰 원칙과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이명박 대통령이 전날 서해교전 직후 “더이상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침착하고 의연하게 대응하라”는 지시와도 같은 맥락으로, 이번 사태가 북핵문제 해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경계한 의미로 풀이된다.

한편, 청와대는 서해교전이 북한의 고의적 도발로 발생했는지 여부에 대해선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 서해 대청도 근처 북방한계선(NLL) 해상에서는 남북한 경비정간 2분간 함포 등을 동원한 교전이 벌어졌다.
 
이날 교전으로 남쪽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았고, 북쪽 경비정은 검은 연기가 날 정도로 반파돼 북방한계선을 넘어 북상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측 경비정이 이날 오전 11시27분께 서해 대청도 동쪽 11.3㎞에서 북방한계선을 2.2㎞ 넘어와 모두 네 차례 ‘북상하라’는 경고 통신을 했으나 무시하고 남하해 교전규칙에 따라 북측 경비정 1㎞ 앞쪽에 함포로 경고사격을 했다고 밝혔다.

남북이 서해에서 교전한 것은 1999년 6월15일과 2002년 6월29일에 이어 세 번째로, 약 7년여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