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中증시 조정, 국내 증시 영향 크지 않다”

◆자료사진
자료사진
IBK투자증권은 중국증시는 일시적인 조정을 받을 수는 있지만 조정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국내증시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中증시, 물량 부담 우려로 또 다시 큰 폭 하락

최근 상승세를 보인 중국증시는 홍콩H지수와 괴리율이 확대되고, 중국 정부의 과잉설비 해소 움직임이 부담으로 작용하며 26일 3.62% 하락했다.

중국증시는 24일 은행감독위원회가 5개 국영은행에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한 자금 조달 계획을 제출하라고 지시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3.44% 하락했다가 하루 만에 반등에 성공했으나 또 다시 하락했다. 은행들의 자금 확충에 따른 물량 부담 가능성이 시장을 짓누르고 있다.

지난 9월말 기준 주요 국영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은 공상은행(ICBC) 12.6%, 중국은행(BOC)은 11.63%를 기록하고 있고, 건설은행은 12.11%, 교통은행은 12.52% 수준이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은행들의 신규 대출 규모를 크게 확대한 가운데 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은 작년 연말 대비 하락했다.

지난 9월말 기준 주요 국영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은 공상은행(ICBC)이 12.6%, 중국은행(BOC)이 11.63%, 건설은행이 12.11%, 교통은행이 12.52%이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한 은행들의 신규 대출 규모가 크게 확대된 가운데 은행들의 자기자본비율은 작년 연말 대비 하락했다. 중국 은행들의 신규 대출 규모는 올 초부터 누적 기준 8조 9천억위안(약 1조 3천억달러)에 달한다. 중국 은행들의 자본 확충 가능성이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중국 민생은행은 26일 홍콩증시에 상장했으나 거래첫날 하락하면서 불안감을 키웠다.

◆홍콩 H지수와 다시 괴리율 벌어진 상해 A증시

박옥희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증시의 하락을 야기한 주요 재료는 은행들의 자본건전성 강화 이슈이지만, 가격 부담이 높아진 게 또 다른 이유는"라고 전했다.

상해 A지수는 조정을 받으며 H지수와 괴리율이 축소됐다가 최근 다시 확대됐다.

가격 부담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물량 부담 우려가 조정의 빌미를 제공한 것이다.

◆과잉설비는 일부 산업의 문제일 뿐

박 연구원은 "중국 내 과잉설비로 정부가 투자를 제한할 것이라는 우려도 하락을 야기했다"고 전했다.

중국 주재 EU상공회의소는 중국의 4조위안 경기부양책으로 인해 과잉설비 문제가 악화됐다며, 특히 철강, 알루미늄, 시멘트, 화학, 정제, 풍력장비 산업 등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시멘트 산업에 대해 새로운 설비확장을 금지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과잉설비 우려는 더욱 확산됐다. 정부가 내년에 정유사에 부과하는 세금을 인상한다는 언론의 보도 또한 정유주에도 부담이 됐다.

박 연구원 "시장에서 중국 정부가 경기 회복의 속도 조절에 나선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팽배해졌다"고 전했다.

하지만 박 연구원은 "중국 CSI300지수에 포함된 기업들(금융을 제외한 2004년부터 매출액과 고정 자산이 제공되는 104개 기업)의 고정자산회전율을 살펴보면, 글로벌 금융위기로 중국 기업들의 과잉투자는 완화됐고, 현재 기업들의 매출 대비 고정자산투자 규모도 과도하지는 않다"고 밝혔다.

지난 2008년 2분기 70.2%까지 높아졌던 고정자산회전율은 올해 1분기 33.3%까지 하락했으나 41.2% 수준으로 올라왔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가 시멘트 산업에 대한 과잉투자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은 경제 성장 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아닌 일부산업에 대한 미세 조정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중국 정부의 조치는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그 동안 경기회복이라는 한 가지에만 중점을 두면서 추진했던 정책들이 과열로 연결돼 부작용을 낳는 것을 막기 위한 절차이기도 하다"며 "펀더멘탈의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중국 상해 A지수의 12개월 예상 EPS기준 PER은, 26일 마감가 기준 18.6배로, 지난 2007년 35.1배까지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은 아니다. 2004년 이후 상해 A지수의 평균 12개월 예상 PER은 17.7배 수준이다.

박 연구원은 "이에 따라 중국정부의 과잉투자 제한과 물량 부담 우려등으로 일시적인 조정을 받을 수는 있겠지만, 조정의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