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막걸리 전성기’ 생산·출하·소비 압도

전성기를 맞은 막걸리가 여타의 다른 술에 비해 생산, 출하, 소비 등에서 다른 술을 압도하고 있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막걸리 생산량은 16만2천598㎘로 지난해 11만7천959㎘보다 37.8% 늘어났다. 맥주(0.2%)였고, 나머지 소주(-4.3%), 약주(-22.3%), 위스키(-26.2%), 복분자주(-28.4%) 등의 생산 증가율과 비교하자면 막걸리의 선전이 단연 돋보인다.

출하량 증가율에서도 맥주(0.2%)를 제외한 소주(-4.7%), 약주(-20.2%), 복분자주(-20.2%), 위스키(-23.6%) 등 대부분의 술이 출하량이 줄은 반면, 막걸리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5% 늘어났다.

이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막걸리가 건강 및 피부미용에도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막걸리를 찾는 사람이 늘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10월까지 막걸리 내수량은 11만4천422㎘에서 15만8천309㎘로 38.4% 증가했다.

또 일본에서 한류열풍과 함께 막걸리 수요가 늘어나며 막걸리 수출도 늘어나는 추세다. 막걸리 수출량은 지난해 3605㎘에서 3964㎘로 10.0%나 늘어났고, 1~10월 수출량 규모에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수출에서는 맥주(40.6%), 위스키(22.2%), 복분자주(10.8%)에 밀렸다.

(자료사진=이명박 대통령과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가 10월 9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오찬에서 쌀 막걸리로 건배하고 있다./청와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