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직장인들의 과반수 이상이 직장에 대한 애사심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전문 포털사이트 커리어가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20~30대 직장인 93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현 직장에 애사심이 없다'고 대답한 비율은 54.3%에 달했다.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애사심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현 직장에 애사심이 없다'는 전체 응답중 여성이 62.8%를 기록한 반면, 남성은 50.2%를 나타냈다.
또 기업규모별로 봤을 때는 중소·벤처기업이 애사심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같이 직장인들이 애사심을 갖기 어려운 가장 주된 이유로 '연봉과 복리후생의 불만족'(65.4%)이 꼽혔다. 이어 회사와 개인의 상호 입장차(50.8%), 대인관계(31.7%), 회사의 낮은 발전가능성(30.9%), 적성에 맞지 않은 직무(19.5%) 등의 순이었다.
반면, 직장인들이 애사심이 갖게 되는 주된 이유로 '회사의 발전가능성'(37.4%)이 1위를 차지했다.
커리어 이정우 대표는 “과거의 직장인이 회사의 방침과 지시에 절대 복종을 통해 애사심을 표현했다면, 현재는 자신의 능력을 100% 발휘하여 회사의 이익을 창출하고 자신도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지급받는 것으로 애사심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며 “기업도 이에 맞춰 성과급이나 각종 복리후생 등 직원들의 애사심을 높이고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