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은 6자회담의 조속한 재개와 비핵화 진전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명박 대통령은 17일 청와대에서 중국의 유력한 차기 지도자로 부상한 시진핑(習近平) 국가부주석을 접견하고 조찬을 함께 하며 북한 문제 해법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 대통령은 "중국이 북핵문제를 풀기 위한 6자회담 의장국으로 큰 역할을 하는 데에 고맙게 생각하고 있다. 내년 한 해가 북한 핵문제를 풀기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중국이 더 큰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시 부주석은 "한반도 정세는 중·한 양국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최근 큰 변화를 맞고 있다"며 "양측은 좋은 시기를 잘 택해 한반도 정세가 계속 좋은 방향으로 발전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도 대화를 통해 남북 관계를 개선하고 남북 사이의 화해 협력을 추진하면서 6자회담 재개와 반도 정세가 완화되도록 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해야 한다"며 "한국 측은 이미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그랜드바겐(일괄타결해법)'을 제시했고 6자회담 각국도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중국 측은 "각국과 이런 새로운 안에 대한 긴밀한 소통을 유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과 시 부주석은 지난해부터 한·중 양국이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동반자관계를 발전시켰다는 것에 공감하고 상호 협력을 더 강화하기로 했다.
시 부주석은 "양국은 일련의 국제적, 지역적 문제에서 비슷한 입장을 갖고 있고, 이런 부분에서 평화적 조율은 양측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중국은 우리에게 있어 단순한 경제적 파트너라기 보다 동북아에, 특히 북한 문제에 있어 또 여러 관계에 있어 아주 깊은 협력자의 관계"라고 화답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과 시 부주석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을 위한 '정부·재계·학계 공동연구'를 마무리하고 한·중·일 FTA 체결을 위한 공동연구 진전에 노력하기로 했다.
특히 내년 '중국방문의 해'를 맞아 교류를 확대하고 2010년 상하이 박람회 및 2012년 여수 엑스포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이 밖에 내년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성공을 위해 긴밀히 협조하고, 신재생에너지 등 저탄소 녹색성장 분야에서도 양국간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