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에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이 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1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가 운영하는 '국제곡물정보분석협의회' 분석에 따르면 국제곡물시장의 수급여건은 무난하겠지만 상반기 중에는 수요 회복과 달러 약세, 투기자금 유입 등으로 가격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품목별로 보면 내년도 쌀, 소맥, 옥수수 생산량이 올해에 비해 다소 줄고 대두는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aT에 따르면 쌀은 태풍 피해를 입은 필리핀과 가뭄으로 생산량이 줄어든 인도가 대량 수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12월 들어 장립종(인디카) 거래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세계 시장이 전체적으로 20% 선의 재고율을 보이고 있어 조만간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관측됐다.
소맥은 생산량은 다소 줄지만 교역량도 감소해 수급이 무난하고, 콩은 최대 생산국인 미국의 생산량 증가로 전체 재고량은 안정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옥수수는 생산량이 감소하고 바이오 에탄올 소비가 증가해 수급이 불안정할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