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소기업, ‘원자재값’에 울고 ‘납품가’에 울고

원자재가격이 올라도 납품가에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중소기업이 30%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중소기업 26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원자재가격 상승분을 제품가격에 전부 반영해 납품한다는 업체는 2.3%에 불과했다고 21일 밝혔다.

   조사 결과 67.7%는 가격 상승분을 일부만 반영하고 있으며,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기업도 27.7%나 됐다.

또 2008년 1월부터 지난 8월까지 원자재가격은 18.9% 상승했으나 납품가격은 6.6% 인상에 그쳐 납품단가 오름폭이 원자재 가격 인상폭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가 인하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치열한 납품 경쟁 때문이라는 의견이 65.8%로 가장 많았고, 납품받는 업체가 비용을 전가하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40%로 높게 나타났다. 납품 거래처에 희망하는 사항으로는 원자재 가격 변동분을 납품단가에 의무적으로 반영해 달라는 의견이 62.7%로 가장 많았다.

   한편, 정부가 지난 4월부터 하도급업체와 원사업자 사이에 대금 조정 신청 협의를 의무화한 `납품단가 조정협의 의무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이번 조사에선 이 제도를 모른다는 업체가 51.1%로 과반을 차지했다.

   중기중앙회 이종목 기업협력팀장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납품단가조정협의 의무제의 실효성을 높여 나가고 홍보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