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실업은 늘어가는데 구인난에 허덕이는 중소기업의 상황이 점차 해결 기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24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비상경제대책회의를 열고 노동부,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공동으로 '청년ㆍ중소기업 인력 미스매치해소 대책' 내년부터 추진하기로 했다.
올 11월 말 현재 청년실업자는 32만5000명(7.&%)으로 평균 실업기간은 2.6개월이다. 학력별로는 고졸이하 12만7000명, 대학 재학 및 휴학생 5만1000명, 대졸 이사장 14만8000명 등이다. 반면 중소기업에서 월평균 약 30만명 안팎의 인력이 취업과 이직을 하는 가운데 인력 부족인원 16만3000명ㆍ부족률 2.3%에 이르고 있다.
이는 고학력 청년실업자는 갈수록 늘어나는데 중소기업은 보수나 근무환경 면에서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대기업에 비해 정보도 상대적으로 빈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직업능력을 청년이 갖출 수 있도록 중소기업 채용예정자 훈련 등 14만명 규모로 맞춤훈련을 실시 할 계획이다.
또 청년을 위한 맞춤형 홈페이지도 구축된다. 16억원을 투자해 단순한 기업정보뿐 아니라 인재상, 복리후생, 임금수준, 채용경향, 인사담당자 인터뷰 등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Job Young'을 만들 예정이다. 중소기업이 청년실업자를 채용 약정 후 민간훈련기관에서 훈련을 실시해 채용할 경우 훈련비를 지원하는 사업을 5만명에서 6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중기청은 내년에 창업전담인력을 활용, 중소기업 채용을 지원하고 기업과 전문계고ㆍ대학간 취업협약을 체결해 2200명 가량을 훈련시킬 방침이다. 중소기업의 개별 기업별 채용수요조사도 진행, 3000명에게 맞춤 훈련을 실시한다.
한편 정부는 중장기적으로는 마이스터고 육성 등 전문계고 선진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전문계고 내에 산학협력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인센티브 등을 마련하며 지방 중기청 청사를 활용한 재직자 대상 주말, 야간 대학캠퍼스도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산업계 수요를 대학 교육에 반영해 전문계고와 전문대를 통합한 4년제 기술사관학교 통합학제 신설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