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노동부, 어려운 정책용어 쉽게 바꾼다

노동부(장관 임태희)가 정책용어를 쉽고 친근하게 바꾸는 작업을 추진한다.

노동부는 정책용어 중 어렵거나 의미가 모호한 용어, 오해의 여지가 있거나 부정적인 어감의 정책 용어 중 107개를 선정해 3월부터 전문기관과 공동으로 대체어 개발에 들어간다.

이 작업은 난해하고 낯선 법령용어들이 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를 떨어뜨린다는 지적에 따라 마련되었다. 예를들어 ‘전차금 상계 금지’와 같이 어렵고 낯선 용어, ‘경력단절여성’처럼 경력단절이 뜻하는 바가 분명하지 않아 의미가 모호한 용어, ‘고령자인재은행’처럼 '인재'라는 용어로 인해 고령전문 인력만을 뜻한다고 오해할 수 있는 용어들이다.

이 밖에 ‘비정규직’ ‘중간착취 금지’와 같이 부정적 어감의 용어와,  ‘소셜 벤처’ ‘잡 페스티발’ ‘뷰티풀챌린지’와 같이 외국어로 된 사업명도 대체어 개발에 포함되었다.

노동부는 지난해 10월부터 정비대상 용어를 선정했으며 3월부터 전문기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해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내부 의견 등을 수렴하여 그 결과물을 1차로 5월 말에 발표하고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또 연구 결과물을 토대로, 사용 가능한 대체어는 즉시 반영하여 사용하고 법령 개정을 요하는 용어는 우선 사용하다가 법령을 개정하는 등 단계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노동부 임태희 장관은 “정책은 국민을 위한 것이니만큼 국민의 눈높이에 맞춘 용어 개선을 추진하게 됐다”며 “국민들이 어려움없이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각 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한번 듣고서도 바로 알 수 있는 쉽고 친근감있는 용어로 바꿔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