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 강남권 재건축 약세 돌아서

정부가 부동산 투기 조짐을 막기 위해 주택거래신고지역 확대에 나서면서 서울 강남권 재건축 시장이 일제히 약세로 돌아섰다.

자료=부동산114
자료=부동산114
비투기지역까지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확대 지정한다는 정부의 발표로 강동구 재건축 시장에는 하락 매물도 출시됐다. 전세시장은 학군 배정이 마무리되면서 학군 주변 지역은 전세금 상승세가 누그러졌지만 봄 이사철을 앞두고 서울 도심권 주변으로는 신혼부부 등 소가구 전세 수요가 이어졌다.

서울 재건축 시장은 주간 0.02% 하락했다. 강남권 재건축 시장이 설 연휴를 앞두고 거래 시장이 조용해지며 약보합세로 반전된 분위기다.

▽강동(-0.03%) ▽강남(-0.03%) ▽송파(-0.01%) 3곳이 일제히 하락했으며 송파구는 지난주에 이어 2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강동구는 상일동 고덕주공이 약세를 보였다.

고덕주공 2·3단지 등은 추진위 승인 무효소송으로 제동이 걸렸고 비투기지역의 주택거래신고지역 확대 지정 발표가 이어지면서 3·5·6단지 시세가 1000만원 가량 내려갔다. 거래신고대상인 6억원 이상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도자들이 매물 가격을 낮춰 내놓기도 했다.

투기지역과 주택거래신고지역을 분리 지정하도록 하는 주택법 개정안을 2월 중 임시국회에서 처리할 예정으로 국회를 통과하면 상반기부터 비투기지역도 주택거래신고지역으로 지정된다.

▲ 서초(0.02%) 재건축만 소폭 상승했다.

설 연휴 직전 서울 수도권 매매시장은 서울 재건축 시장이 약세로 돌아서며 거래 없이 보합세를 띠고 있다. 전반적으로 경기회복과 가격변동에 대한 불안감이 형성돼 있고 강남권은 단기간 오른 가격에 대한 부담이 작용했다. 서울과 신도시 모두 제자리걸음 했고 수도권은 0.01% 하락했다.

자료=부동산114
자료=부동산114
서울은 ▽관악(-0.05%) ▽송파(-0.03%) ▽강동(-0.01%) ▽노원(-0.01%) ▽마포(-0.01%) ▽성북(-0.01%) 지역이 하락했다.

관악은 신림동 관악산휴먼시아, 신림2차푸르지오, 봉천동 서울대입구삼성 등 거래 없이 내림세를 보였다. 송파구 가락동 가락시영1차와 강동구 고덕주공 등 재건축 단지들의 가격이 내려갔다. ▲용산(0.02%) ▲동작(0.02%) ▲구로(0.02%) ▲서초(0.02%) ▲서대문(0.01%) 등은 일부 소형이 거래되면서 소폭 오름세를 보였다. 용산 이촌동 강촌 단지의 저가 매물이 소진됐고 서초구는 잠원동 한신10차가 소폭 올랐다. 서대문구 충정로3차 충정로대림리시온 등 소형 아파트는 도심권 수요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있는 편이다.

신도시는 ▽산본(-0.01%)이 하락했고 ▲중동(0.02%) ▲분당(0.01%)은 소폭 오름세를 유지했다. 중동은 미리내롯데2차, 미리내우성 등의 소형 아파트가 오름세를 보였다. 전세매물 부족으로 일부 수요가 소형 매매수요로 전환됐다. 분당은 야탑동 매화공무원1·2단지 등 소형아파트 수요가 상대적으로 지속되는 모습이다. 싼 매물 중심의 거래도 이뤄졌다.

약세를 보인 수도권은 ▽광주(-0.06%) ▽안산(-0.05%) ▽의정부(-0.04%) ▽시흥(-0.04%) 등이 하락했다. ▲과천(0.04%) ▲광명(0.03%) ▲부천(0.03%) ▲구리(0.01%) 등은 소폭 올랐지만 거래가 많지는 않다. 과천시 별양동 주공5단지는 저가 매물이 소진된 후 소폭 올랐다. 수요가 많이 찾는 싼 매물이 별로 없어 거래량이 많지 않다. 광명시는 래미안자이, 두산위브트레지움 등 최근 싼 매물이 사라지면 소폭 회복세를 보였다.

전세시장은 학군수요가 진정되면서 서울 주요지역의 상승세가 둔화되고 대치동, 목동 등 일부 지역에서는 하향 조정된 전세물건이 나오기도 했다.

자료=부동산114
자료=부동산114
방학 전후로 수요가 일시에 몰리며 급등했던 전세금이 제자리를 찾는 모습이다. 하지만 도심권의 소형 전세는 찾는 수요가 꾸준하고 신도시와 수도권도 소폭 오름세를 이어갔다. 지난주보다 주간 상승폭은 둔화됐지만 ▲서울 0.06% ▲1기신도시 0.08% ▲2기신도시 0.16% ▲수도권 0.06% 등의 주간 상승률을 보였다.

서울은 도심권과 강남 주변시장의 소형 전세금이 오름세를 유지했다. 구별로는 ▲동작(0.18%) ▲송파(0.17%) ▲은평(0.10%) ▲성동(0.09%) ▲영등포(0.09%) ▲마포(0.08%) ▲구로(0.08%) 순으로 오름세를 보였다.

동작구는 여의도와 강남권 등지로 출퇴근하는 소가구 수요가 늘어나면서 대방동 대림, 사당동 극동, 상도동 중앙하이츠빌 등의 소형 전세금이 오름세를 보였다.

성동구 성수동2가 롯데캐슬파크, 마포구 신공덕동 메트로디오빌, 래미안1·2·3차 등도 소형 위주로 신혼부부 등의 전세수요가 이어졌다.

한편 학군수요가 몰리며 전세금이 크게 올랐던 강남, 양천, 광진구 일대는 학군 배정이 마무리되면서 진정세를 띠고 있다.

상승폭도 둔화돼 ▲양천(0.05%) ▲광진(0.02%) ▲강남(0.01%) 등의 변동률을 보였다. 단기간 전셋값이 크게 올랐던 단지에서는 가격이 내린 전세물건도 나오고 있어 전세 찾기가 조금은 수월해진 모습이다.

신도시는 ▲분당(0.15%) ▲판교(0.09%) ▲중동(0.07%) ▲산본(0.06%) ▲평촌(0.04%)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분당은 서현동 효자대우, 효자대창, 효자LG 등이 오름세를 보였다. 판교는 삼평동 봇들마을9단지(A21-1), 운중동 산운마을5단지와 14단지 등이 전세수요가 많다.

수도권은 인근 직장인과 신혼부부 등 소형 전세수요가 늘어난 남부권 중심으로 전세금이 상승했다. 상대적으로 서울에 비해서 뒤늦게 오르기 시작한 데다가 한동안 약세를 보였던 곳도 있어 회복세를 띠기도 했다.

▲수원(0.18%) ▲용인(0.13%) ▲과천(0.12%) ▲하남(0.12%) ▲화성(0.11%) ▲안산(0.09%) 등이 올랐다. 새 아파트가 한꺼번에 입주하며 연속 13주 하락했던 광명시가 0.03% 상승하기도 했다. 철산동 래미안자이 등이 저가 전세 매물이 소진되면서 회복세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