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도요타 사태, 해외진출 기업들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국무역협회가 최근 도요타 리콜사태를 계기로 한국기업들의 원가절감전략, 해외 생산거점 확대전략 수립에 있어서 기업의 품질·서비스 등 원천경쟁력 유지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무협은 17일  ‘최근 토요타 리콜사태의 영향 및 시사점’보고서를 통해 도요타 사건과 관련해 해외에 진출해 있는 우리 글로벌 기업들이 주의해야 할 점들을 정리, 발표했다.

보고서는 국내생산여건의 개선을 통한 국내생산의 확충이 무리한 해외진출의 대안이 될 수 있다거 분석했으며, 아울러 국내생산여건의 개선을 위해서는 발전적 노사관계의 확립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한국경제와 우리기업이 비록 일본과 토요타를 롤모델로 삼아 발전해 왔으나, 금번 토요타 리콜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이를 위해서 우리기업들은 해외 현지생산이 늘어날수록 품질 및 서비스 저하 위험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문제발생시 신속한 대응능력 배양 등 효율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리스크 매니지먼트 체계 확립 및 운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원가절감과 같은 도전에 직면했을 때 무리한 해외진출보다는 일자리 창출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는 국내생산 확대를 통해 품질 등 기업의 원천경쟁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국내 생산 여건을 개선하고, 이를 위해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한다고 주문했다. 또 부품업체에 대한 일방적인 원가인하 압력 보다는 부품개발을 위한 기술자 파견, 개발비용 지원, 결제시스템 개선, 단가인하 조건부 장기 구매계약 체결 등 우리기업간 상생의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