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계올림픽에서 우리 선수들이 기대 이상으로 선전하면서 운동에 대한 관심이 한층 뜨거워졌다.
적절한 운동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매우 유용하지만 너무 과도하거나 잘못하면 척추분리증과 같은 척추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척추외과학 교과서 [1]에 따르면 "젊은 운동선수 중 11-35%가 척추분리증을 경험했으며, 특히 성장을 많이 하는 11세에서 15세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나고 18세에는 6-7%까지 발병률이 증가한다"고 언급돼 있다.
관절척추 전문 바로병원 이정준 원장은 "허리를 쓰는 운동을 오래 하면 허리근육과 인대가 약해져 척추분리증이나 척추변형이 생길 수 있다"고 말하고 "척추분리증은 특별한 자각증상이 느껴지지 않아 발병 사실을 모르는 경우가 많고 청소년기에 척추분리증이 생기면 척추전방전위증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을 하는 청소년이라면 정기적인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척추는 각 척추뼈 뒤쪽에 있는 돌기들에 의해 위아래 척추뼈가 결합된 형태다. 돌기들은 서로 경첩처럼 맞물려 있어 척추뼈가 밀리지 않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허리에 꾸준한 압박을 받거나 교통사고 등으로 허리를 다치면 돌기에 금이 가고, 돌기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척추뼈는 틀어져 이탈한다.
'한판승의 사나이' 김원희 선수나 발레리나가 꿈이었던 탤런트 박효주 역시 어렸을 때부터 척추분리증을 앓았다. 유소년기부터 고난위도의 기술과 고된 훈련을 쌓는 운동선수들은 척추 고생이 심하다.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거나 펴는 동작이 반복되어 척추뼈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다. 체조 선수나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이 많이 하는 동작 중, 허리를 뒤로 젖히는 자세가 대표적인 예이다. 또 유도처럼 허리를 비틀어 무거운 상대를 넘기는 운동과, 과격한 몸싸움을 해야 하는 축구, 럭비 등의 운동도 척추분리증을 유발할 수 있다.
척추분리증의 증상은 병원을 찾을 만큼 심하지 않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허리가 아프기는 하지만 근육통 정도의 통증이다. 때문에 청소년기 환자의 9%만이 병원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척추 주변 근육이 튼튼하면 척추신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분리증 상태에서 계속 과격한 운동을 하면 분리증이 발생한 뼈가 배쪽으로 밀려 위아래뼈와 어긋나는 '척추전방전위증'이 된다. 주로 엉덩이 바로 윗부분인 요추 4번과 5번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척추분리증이 생겼어도 발병 사실을 모르다가 20대가 되어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환자가 많다.
척추분리증 치료에는 '복근강화 운동'이 대표적이다. 틀어진 위쪽 척추뼈가 밀려내려 오지 못하게 해 전방전위증을 예방할 수 있다. 분리된 척추뼈가 윗뼈에 비해 50% 이하로 빠져 나왔다면 보조기를 착용하여 교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