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원화절상률 3.4% ‘주요 통화중 최고’

올 들어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절상률이 세계 주요 통화 중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달러화 뿐 아니라 일본 엔화에 대한 원화의 가치도 1년 6개월 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하면서 수출경쟁력 약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이후 이달 1일까지 달러화에 대한 원화 절상률은 3.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 기간 동안 1164.5원에서 1126.4원으로 38.1원 환율이 하락한 것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엔화, 유로화, 영국 파운드화, 호주 달러화, 뉴질랜드 달러화, 태국 바트화, 타이완 달러화, 홍콩 달러화, 싱가포르 달러화, 중국 위안화 등 주요 11개국 통화 중 가장 높은 절상률이다.

태국 바트화의 절상률이 3.1%로 원화의 뒤를 이었고, 호주 달러화는 2.5%, 타이완 달러화와 싱가포르 달러화는 각각 1.3%와 0.4%를 기록했다. 중국 위안화는 변동이 없었다. 반면 유로화와 영국 파운드화는 각각 5.8%, 5.6% 절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달러화에 대한 엔화의 가치도 1.6% 떨어지면서, 엔화에 대한 원화의 가치가 강세를 기록했다. 엔화 대비 원화의 절상률은 5.0%에 달했다. 엔화에 대한 원화의 고시 환율은 지난해 말 100엔당 1264.66원에서 1일 1204.45원으로 60.21원까지 떨어졌으며, 이는 2008년 10월 14일 1179.00원 이후 최저치다.

원화가 다른 통화에 대한 강세를 보이는 것은 달러화가 꾸준히 유입되기 때문이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21억9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또 올 들어 주식시장에 외인의 자금은 6조4000억원 순유입됐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수출경쟁력 약화를 우려하고 있다. 예컨대 100달러어치를 수출하면 지난해 말에는 11만6450원을 벌었지만 2일 환율시장의 종가기준으로 3850원 적은 11만2600원을 벌게 되는 등, 수출기업의 채산성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수출기업이 이익을 내고가 가격을 인상하면 가격경쟁력의 악화로 이어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