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실 예술의전당 사장은 정치학 박사가 아닌 가요사 박사였다.
지난 2일 서울종합예술학교(이사장 김민성)가 주최한 초청 특강 '한국 대중가요의 정치사회학'에서 김장실 사장은 1920년대부터 1980년까지 시대상을 반영한 대표곡 13곡과 배경이 되는 정치·사회적 배경을 설명했다.
김 사장은 정통 관료 출신이지만 대중가요를 주제로 한 스타 강사로 유명한 김사장은 각각의 가요를 MR 반주에 맞춰 직접 열창해 큰 박수를 받았다.
특강에 참여한 서울종합예술학교 실용음악, 공연제작, 뮤지컬예술학부 300여명 학생들도 함께 따라 부르며 특강 분위기가 흡사 '가요무대' 같은 정겨운 분위기가 연출됐다.
이날 김 사장이 부른 노래는 19 27년 '황성옛터', 1939년 '꽃마차', 1946년 이인권의 '귀국선', 1953년 '이별의 부산정거장', 1964년 '동백아가씨', 1969년 '기러기아빠', 1976년 '돌아와요 부산항에' 등이다.
특히 이미자가 부른 '기러기 아빠'는 중동건설과 월남전으로 가족을 남겨두고 해외로 돈벌이를 떠나는 가장들의 아픔을 담은 노래로 1990년대 조기유학이 유행하게 되자 홀로 남은 아버지를 기러기 아빠로 부르는 국제적 이산과 관통하며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다.
이렇듯 일제 강점기부터 산업화 시대에 이르기까지 서민들 아픔을 대변하거나, 때론 위로한 대중가요를 정리해볼 수 있는 유익한 강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