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소기업 71% "채용시 명문대 출신 배제한 적 있다"

중소기업 10곳 중 7곳은 의도적으로 명문대 출신을 채용에서 배제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가 전국의 중소기업 382개사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명문대 출신인력에 대한 인식’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71.2%(272개사)가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이른바 명문대학 출신의 지원자를 채용에서 배제해 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중소기업이 명문대 출신을 꺼리거나 배제하는 이유로는‘더 좋은 직장을 찾아 금방 떠날 것 같아서’란 응답이 61.3%였다. 실제 명문대 출신을 뽑아 써 봤다는 기업을 대상으로 명문대 출신 인력의 퇴사율이나 이직률이 비명문대에 비해 높은지 물어본 결과에서도 ‘그렇다’는 응답이 82.4%에 달했다.

연봉도 주요한 이유 중 하나로 꼽혔다. '더 높은 연봉수준을 요구할 것 같아서’(12.8%) 뽑지 않는다는 의견이 2위를 차지했다. 그 뒤로는 △애사심, 충성도가 약하고 열심히 일하지 않을 것 같아서(8.9%) △근성이나 도전정신이 강하지 않을 것 같아서(4.5%) △대인관계나 조직 적응에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3.7%) △조직 내 위화감을 조성할 것 같아서(1.3%) △업무능력이 오히려 떨어질 것 같아서(1.0%) 등이 이어졌다.

그럼 실제 명문대 출신의 업무역량은 어떨까. △업무역량이 우수하긴 하지만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39.8%)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별 차이 없다(33.0%)는 응답도 적지 않게 나왔다. △업무역량이 훨씬 뛰어나다는 응답은 13.9%, △오히려 비명문대 출신보다 뒤떨어진다는 응답은 13.4%로 각각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