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주택가격 거품론은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실물경기와 주식시장이 견고한 회복세를 보이면 다시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는 한성대학교 이용만 교수의 주장이 나왔다.
이 교수는 지난 12일 한국주택금융공사(HF, 사장 임주재)가 개최한 ‘주택금융전문가협의회’에서 ‘주택가격 적정성 논란 및 향후 변화요인’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소득대비 주택가격비율(PIR)은 2008년 기준 전국 6.3배, 서울 12.6배로 나타나고 있는데 지역별 주택소유자의 연소득자료를 사용할 경우 실제비율은 상당히 다를 수 있다.
금융위기 이후 한국은 가격조정이 없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실거래가격기준으로 할 경우 최고점(2008년 7월) 대비 최저점(2009년 1월)을 비교하면 전국 8.45%, 서울 18.86%, 강남구는 21.71%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의 주택가격에 대해 이 교수는 단기적으로 보금자리주택 공급과 미분양 적체, 금융규제 등으로 가격이 좀 더 조정 받겠으나 실물경기와 주식시장이 견고한 회복세를 보이면 다시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수도권 전체로는 중기적으로 공급이 충분하지만, 지역별로는 수급불균형 때문에 지역별, 유형별 차별화가 유지되겠고, 비수도권의 경우 재고조정으로 가격의 하향 조정압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장기적으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인구구조의 변화에 영향을 받겠지만 소득수준, 인구 1천명당 주택수, 1주택 다가구 상존, 가구변화 요인 등을 고려할 때 주택가격이 안정세(정체)를 보이기는 하겠지만 급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