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디스플레이 산업, 2015년까지 21兆 투자"

지식경제부는 19일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디스플레이 산업 육성대책'을 발표하고, 민·관 공동으로 오는 2015년까지 약 21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같은 투자배경에는 최근 중국의 LCD 산업 육성이 본격화되는 등 세계적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정부는 5~6개의 국내외 LCD 기업에 대한 투자 승인을 앞두고 있으며, 또 7~8세대 LCD 생산기반 확충을 위해 150억불의 기금을 조성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이같은 세계적 흐름을 반영해 지경부는 "민관 공동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비·소재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 투자를 확대하는 한편 장비·부품소재 산업 위주로 동북아 분업체제를 재편한다"고 밝혔다.

특히, 해외의존도가 높고 개발비용이 많이 드는 핵심장비 중심으로 R&D 자금지원을 확대하고, 광학부품 등 제조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해외의존도가 70% 이상인 부품소재를 중점 개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민간의 11세대급 차세대 LCD 고도화 투자에 약 10조원, AM OLED 등 차세대 디스프레이 투자에 약 10조원이 투자된다.

이번 대책의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장비ㆍ소재산업 경쟁력 강화 ▲신기술 개발 지원 및 기반조성 ▲전문인력 양성 ▲해외진출 지원 등 크게 4가지로 요약된다.

이와 관련 지경부는 오는 6월 '차세대 LCD 장비·소재 개발협의회'를 설치 및 운영하고, 향후 5년에 걸쳐 11세대급 LCD 및 8세대급 AM OLED 국산 장비·소재의 수요연계형 개발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 차세대 LCD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과 연계하여 중소장비기업의 R&D에 대한 세액 공제 허용을 검토 중이다.

아울러 기업의 투자 애로사항을 적극 해소하기 위해 경쟁국보다 높은 관세율(8%)을 인하해 나갈 예정이며,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정에 따라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도 시행에 따른 환경규제에 적극 대응하는데 필요한 친환경 공정과 장비개발 및 기반조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친환경 디스플레이에 대한 산ㆍ학ㆍ연 공동연구, 인력양성 및 테스트 베드 구축을 위한 Eco-Display 연구센터 구축 추진한다.

한편 중국에 기술 이전되는 8세대급 LCD 국가핵심기술의 불법 유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산업기술유출방지법'상 국가핵심기술보호 시스템이 현지공장에서 운영되도록 조치하고, 국가핵심기술보호에 대한 실태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우리 기업들이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최강자로 성장했지만 디스플레이 장비와 부품 소재의 해외 의존은 해결해야 할 숙제"라고 밝혔다 .

윤 장관은 "디스플레이는 TV, 휴대폰, PC 등 미래 모든 산업에 있어 얼굴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될 핵심 기술"이라며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을 위해 핵심 부품 소재와 장비의 국산화, 차세대 원천기술의 확보 등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