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재명, '조용한 경선' 모드 대권가도 상황 관리 주력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예비후보가 '조용한 경선' 모드를 통해 대권 가도 상황 관리에 들어간 듯한 모습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 예비후보는 15일 공개 일정을 소화하지 않은 가운데, 차기 정부에 필요한 과제를 주제로 미리 녹화한 유시민 작가·도올 김용옥 선생과의 대담을 공개했다. 소셜미디어(SNS)를 통해선 후원금 모금을 시작한다고만 알렸다.

초단기 대선 레이스에서 시간을 분초 단위로 쪼개 쓰는 당 안팎의 대권 경쟁자들에 견줘 느린 템포의 움직임이다.

경선 관련 메시지도 '선의의 경쟁'을 강조하는 수준의 절제된 톤으로 나오고 있다.

이 예비후보는 전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경쟁자인 김동연 경기지사와 김경수 전 의원을 향해 "민주당을 힘있게 견인하고 있는 두 분과 함께 경쟁할 수 있어 영광"이라고 추켜세웠다.

그는 전날 공개된 저서 '결국 국민이 합니다'에서는 김 전 의원의 복당이 당에 콘크리트 역할을 할 것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예비후보가 지난 2017년 조기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를 겨냥한 '사이다' 발언으로 이목을 집중시켰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이재명 후보
[연합뉴스 제공]

이같은 행보와 메시지의 배경에는 이미 독주 체제를 굳힌 당내 경선 구도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쟁 주자들을 포용하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선거 전략에 유리하다고 본 셈이다.

당내에서는 물론, 보수 진영의 주자들과 비교해도 여론 조사상 멀찍이 앞서 있는 상황에서 무리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공개 일정이나 언론 노출이 잦을수록 의도치 않은 '실수'가 나올 수 있고, 이는 선두 주자에게 더 치명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추격자 입장인 김 지사와 김 전 의원은 이 예비후보보다 상대적으로 공개 일정을 많이 잡는 편이다.

이들은 이 예비후보와 달리 이날 직접 대선 경선후보로 등록하면서 카메라 앞에 선다.

김 지사는 이날 미국 관세 관련 간담회와 언론 인터뷰를 소화하고, 김 전 의원은 언론 인터뷰 두 건과 함께 자영업자와의 간담회도 할 예정이다.

김 지사와 김 전 의원은 워낙 당내 여론 지형이 기울어져 있는 탓에 선두인 이 예비후보를 무작정 공격하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어느 정도 경쟁 구도가 형성돼야 상대에게 흠집을 내는 '네거티브 전략'도 먹힐 수 있지만 현재 경선은 이런 상황과 거리가 있다.

다만 이날 후보 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인 경선 국면에 들어가면 이 예비후보와의 차별화를 위해 조금 더 공세적인 행보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