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활동을 하는 직장인들이 소지한 신용카드 수가 20년 새 7배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카드업계에 의하면 경제활동인구 1인당 소지한 신용카드 수는 1990년 0.6장에서 지난해 4.4장으로 7.3배 증가했다.
지난해 경제활동인구는 2046만3000명, 지난해까지 발급된 신용카드 총수는 1억699만 3000장에 달했다.
경제활동인구 1인당 소지 카드는 1990년 0.6장에서 1993년 평균 1.0장을 넘은 데 이어 IMF(국제통화기금) 위기 전인 1997년(2.1장) 2장을 돌파했고 카드 대란이 있기 직전인 2002년 4.6장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카드 대란을 겪은 2003년 4.1장으로 줄어든 이후 하락세를 보여 2005년 3.5장까지 떨어진 뒤 2006년 3.8장으로 증가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4.4장으로 늘었다.
이 기간 신용카드 발급 수는 큰 폭으로 증가해 1990년 1천38만4천장에서 지난해 1억699만3천장으로 10.3배로 커졌다.
신용카드 가맹점 증가 폭은 더욱 크다. 1990년 58만6천곳에 불과하던 것이 지난해 1천656만8천곳에 이르렀다. 근 20년새 28.3배로 증가한 것이다.
신용카드 발급 증가는 정부가 자영업자의 과세표준 영성화를 위해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을 펼친데다 카드사들도 적극적으로 판촉에 나선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신용카드 사용액은 직장인 연말정산 때 세금공제 혜택의 대상이어서 '13월의 보너스'를 받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에 신용카드 이용 방식은 현금서비스를 받는 것에서 최근에 와서는 물품 구매를 위한 일시불이 크게 늘어났다.
지난 1990년만 해도 신용카드 이용실적(12조6천46억원)에서 현금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57.8%, 일시불 23.9%, 할부가 18.4%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신용카드 사용액(454조3천980억원) 중 현금서비스 비중은 17.9%에 불과했고 일시불 비중이 66.3%, 할부가 15.8%를 차지했다.
현금서비스 비중은 2002년까지 대체로 50%를 상회했지만 카드 대란을 겪으면서 2003년(49.8%) 50% 아래로 떨어졌고 이듬해 35.7%까지 하락한 뒤 계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으며, 일시불 비중은 2003년 39.7%에서 2004년 52.6%로 급증한 뒤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소비자측에서는 현금서비스 이용에 따른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신용카드사 측에서는 현금서비스 한도 축소를 통해 위험 부담을 덜기 위한 움직임이 확산됐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