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형 슈퍼마켓(SSM)에 대항한 중소유통업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주도로 서울 등 전국 8곳에 광역물류센터를 건설해 물류비용을 대폭 낮추는 방안이 추진된다.
9만개에 달하는 '동네 슈퍼'에서 취급하는 물품을 이들 센터를 통해 대량으로 구입하면, 동네 슈퍼들이 각자 살 때보다 매입 단가가 크게 떨어질 뿐 아니라 상품 구색도 훨씬 다양해진다는 점을 겨냥한 것이다.
23일 지식경제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SSM 규제강화를 골자로 한 유통산업발전법 개정과 함께, 장기적인 중소유통업체의 체질 강화를 위한 별도 지원책을 마련 중이다.
지경부는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내년부터 대규모 광역물류센터를 설립해, 중소상인들의 공동구매를 통해 대형 유통업체 수준의 가격 경쟁력과 상품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선 내년에는 시범사업 형태로 주요 거점지역에서 광역물류센터 건설을 시작할 방침이다.
정부는 2003년부터 중소유통업 구매력 강화를 위해 소상공인 조합이 운영하는 공동도매물류센터 제도를 시행해 왔지만, 그 규모가 영세해 애초 의도한 실효성을 거두지 못해 왔다.
한 관계자는 "기존 물류센터는 규모가 작아 가격 및 상품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했다"며 "이번에는 정부 주도로 광역물류센터를 설립, 다양한 물건을 충분히 싼 값에 구매해 물류비용을 대폭 절감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김종호 지식경제부 유통물류팀장은 최근 한국유통학회 정기 조찬포럼에서 "동네 슈퍼마켓이 SSM과 경쟁하려면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을 SSM 만큼 저렴한 가격에 판매할 수 있어야 한다"며 "대형 물류센터를 중심으로 공동 구매를 하면 동네 슈퍼의 가장 큰 문제인 '높은 가격'과 '부족한 상품 수'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밝힌바 있다.
김 팀장은 "중소 유통업체들을 살리기 위해선 SSM의 무분별한 진출을 막는 규제와 함께 동네 슈퍼의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조치가 동반돼야 한다"며 "광역 물류센터 외에 전국 곳곳에 소형 물류센터를 확충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지경부는 대규모 부지 확보를 위해 그린벨트를 해제해 물류센터를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SSM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고자 하루에 두 번 물류센터에서 소속 점포에 물건을 공급하는 배달망을 갖추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