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천안함 사태의 대응조치로 남북 교역과 교류 중단을 선언하고, 향후 북한의 무력침범시 즉각 자위권을 발동할 것임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호국추모실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천안함을 침몰시키고, 고귀한 우리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이 상황에서 더 이상의 교류·협력은 무의미한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북한은 금강산 관광길에 나선 우리 국민의 목숨을 빼앗고, 최근에는 우리 소유의 재산까지 일방적으로 몰수했다"며 "그동안 우리는 북한의 만행에 대해 참고, 또 참아왔다"며 "오로지 한반도 평화를 향한 간절한 염원 때문이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러나 이제는 달라질 것"이라며 "북한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다. 나는 북한의 책임을 묻기 위해 단호하게 조처해나가겠다"고 단언했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지금 이 순간부터 북한 선박은 <남북해운합의서>에 의해 허용된 우리 해역의 어떠한 해상교통로도 이용할 수 없다"며 "교류협력을 위한 뱃길이 더 이상 무력도발에 이용되도록 할 수 없다. 남·북간 교역과 교류도 중단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또 "대한민국은 앞으로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용납하지 않고, 적극적 억제 원칙을 견지할 것"이라면서 "앞으로 우리의 영해, 영공, 영토를 무력침범한다면 즉각 자위권을 발동할 것"이라며 추가 도발시 군사력으로 대응할 것임을 강조했다.
그러나 "다만 영유아에 대한 지원은 유지할 것"이라며 "개성공단 문제는 그 특수성도 감안해 검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서는 "천안함 침몰은 '대한민국을 공격한 북한의 군사도발'"이라고 규정하면서, 지난 20일 합동조사단이 내놓은 결론을 들어 "이제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어떤 나라도, 천안함 사태가 북한에 의해 자행됐음을 부인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한에 대해 "6·25 남침 이후 북한은 아웅산 폭탄테러사건, 대한항공 858기 폭파사건 등 끊임없이 무력도발을 자행해왔다"며 "그러나 단 한 번도 자신의 범행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번에도 우리 정부의 자작극이라고 강변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