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천안함 사태에 대해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하고,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책임을 묻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호국추모실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천안함 사태에 대한 북한의 사과를 요구하면서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북한은 '3·26 천안함 사태'로 유엔헌장을 위반하고, 정전협정, 남북기본합의서 등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기존 합의를 깨뜨렸다"고 강조하면서 "많은 나라들이 우리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 당국에 엄중히 촉구한다"면서 "북한은 대한민국과 국제사회 앞에 사과하고, 이번 사건 관련자들을 즉각 처벌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 "이것은 북한이 우선적으로 취해야할 기본적 책무"라며 "늘 그랬던 것처럼 변명이나 억지 주장만 반복한다면, 국제사회 어느 곳에도 북한이 설 곳은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군사적 대결이 아니다"라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다. 한민족의 공동번영, 나아가 평화통일"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발전상을 언급하면서 북한에 대해 "60년 전이나 지금이나 조금도 바뀌지 않았다. 여전히 대남적화통일의 헛된 꿈에 사로잡혀 협박과 테러를 자행하고 분열과 갈등을 끊임없이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북한 정권도 이제 변해야 한다"면서 "오늘날 어떤 나라도 혼자서는 평화를 지킬 수도, 경제를 발전시킬 수도 없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이 대통령은 "우리는 천안함 사태를 통해 다시 한 번 뼈아픈 교훈을 얻었다"며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인 집단과 대치하고 있다는 현실을 잊고 있었다. 우리 군도 잘못이 있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또 "군의 기강을 재확립하고, 군 개혁에 속도를 내겠다. 군 전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할 것"이라며 "굳건한 한미동맹을 토대로 한미연합방위태세를 더 한층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 국민의 안보 의식도 더욱 튼튼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