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이 24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북한에 대한 강력한 제재조치와 UN 안전보장이사회 회부를 표명한데 대해 주요 외신들도 담화문 내용을 신속히 전했다.
AP통신은 이날 이명박 대통령의 천안함 사태 관련 대국민담화 내용을 전하며 두 국가는 공식적으로 전쟁이 끝나지 않았으며 그동안 북한의 도발 행위가 계속돼 왔다는 점을 지적했다. 아울러 북한에 대한 제재조치를 위해 북한과 동맹관계인 중국을 설득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전했다.
AP통신은 또 북한 로동신문에 게재된 "반역자 무리는 우리의 무자비한 처벌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내용과 함께 북한의 반발에 대해서도 전했다. 특히 북한이 서해상의 해상군사분계선을 UN의 힘에 의해 전쟁이 중단되면서 일방적으로 그어진 선이라며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내용을 전했다.
이어 중국을 방문한 클린턴 미 국무장관이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중국 측에 협조를 요청했다는 내용과 26일 한국을 방문해 이 문제를 본격 논의할 것이라고도 전했다. 아울러 중국은 북한과 동맹국이면서 유엔안보리 제재조치 회부에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회원국임을 강조하며 현재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AP통신은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백악관이 천안함 침몰 사건에 대해 엄중하게 처벌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의견을 받아들이고 지지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통신은 백악관 대변인 로버트 깁스의 말을 인용해 "우리는 이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즉각적인 사과와 천안함을 공격한 것에 대한 책임과 처벌을 물을 것이며 공격적이고 위협적인 행동을 자제하라는데 동의한다"고 말했고 보도했다.
또 깁스 대변인은 "한국 방어에 대한 미국의 지지는 명확하고 오바마 대통령도 북한의 추가 침략과 한국의 대비 상황을 준비하는데 협력하겠다"고 말했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이 대통령의 담화 내용을 상세히 전하며 한국 정부가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해 엄중히 대처할 것이며 남북교류 중단과 북한의 남측 해상교통로 이용 금지, 유엔안보리 회부 등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전했다.
일본 공영방송 NHK는 초계함 침몰 사건과 관련해 한국정부가 북한방문, 투자를 금지하는 등 독자적인 대응과 함께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 이번 사건을 회부하고 국제사회의 협력을 요구 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에 일본정부는 24일 오후 안전보장이사회의를 열어 정보 분석과 함께 대책을 협의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한 중국에 대해서도 같은 상황에 있는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해 기회가 있다면 일본의 역할을 당연히 수행하고 싶다고 말했다고 NHK는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