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서울내 전통시장 변신에 시민들 방문 증가

편리함과 깨끗함을 내세운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에 밀려 매출에 타격을 받고 있는 서울내 전통시장이 적극적인 활성화에 나섰다.

서울시는 30일 ▲노후시설 현대화로 편리한 쇼핑환경 구축 ▲값싸고 안전한 농축산물 공급 ▲영세상인을 위한 자립 지원 ▲만남의 장소로 볼거리·즐길거리 제공을 통해 즐길거리 제공을 통해 전통시장 활성화를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에 따르면, 다소 지저분하고 불편했던 쇼핑환경으로 인해 전통시장 대신 대형마트나 백화점을 찾았던 소비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장을 볼 수 있도록 △시설현대화 및 쇼핑환경개선 △여성 화장실 개선 △공동배송센터 설치 △자전거 보관대 및 쇼핑카트 비치 등의 사업을 통해 전통시장을 변화를 조성하고 있다.

141개 전통시장 중 65%에 달하는 92개 시장의 쇼핑환경 개선을 추진했으며, 특히 아케이드 설치 가능한 57개 골목시장 중 47개 시장(83%)에 아케이드(비가리개)를 설치해 상인은 물론 시민들이 편리하게 장을 볼 수 있는 여건을 조성했다.

또 현재 우림시장·자양골목시장을 비롯한 서울시내 16개 시장에는 '공동배송센터'가 설치돼 배송서비스가 실시되고 있으며, 올해 5개 시장을 추가해 총 22개 시장으로 확대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시장 내 공동배송센터에 구매한 물건들을 맡기면 원하는 시간에 차량을 이용해 집까지 배송해 주는 이 서비스는 그동안 구매 물품을 직접 운반해야 하는 수고스러움 때문에 마트나 백화점을 이용했던 여성 및 노약자들에게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다.

여기에 자전거 보관대와 쇼핑카트를 시장입구에 마련해 쇼핑의 불편을 덜고 있다.

점포가 밀집된 전통시장의 특성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대비해 한국전기안전공사 전문가가 전통시장 내 점포를 직접 방문해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는 값싸고 믿을 수 있는 제품을 유통할 농축산물 직거래 점포 20곳을 내달부터 시범운영하고 연내 200개로 늘린다는 계획도 세워놨다. 재래시장을 떠난 손님들의 발길을 되돌리도록 하려는 조치다.

이들 점포는 유통 단계를 기존의 최대 6단계에서 3단계로 줄여 유통 비용을 20% 이상 줄일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영세 상인의 자립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도 펼친다.

전통시장 상인들의 자립기반을 마련하고,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지원도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백화점·대형마트·기업형슈퍼마켓(SSM)과의 경쟁에서 전통시장이 실질적인 매출을 늘릴 수 있도록 △전통시장 상품권 발행 △마켓론(장터쌈짓돈)서비스 △상인아카데미 운영 △이벤트·축제 지원 서비스를 강화한다.
 
2008년부터 전용 상품권 160억원을 발행해 서울 전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했고, 영세상인 소액 저리 대출프로그램 '마켓론 서비스'도 선보였다.

이미 35개 시장 상인 1천21명이 '마켓론 서비스'로 23억원을 지원받았으며, 올해는 30억원이 주어진다.

서울시는 20개 시장 400명의 상인을 대상으로 소비자 생활패턴 등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점포경영, 상품진열, 고객서비스 등 맞춤형 전문 교육인 '상인아카데미' 운영 및 '문화와 예술이 함께 하는 전통시장'도 조성할 방침이다.

또한 '전통시장 이벤트'를 추진해 지역주민들의 시장 방문기회를 증대시켜 시장 활성화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도 앞당길 계획이다.

지난해 설을 맞이해 51개 시장이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46개 시장이 지역특산전을 62개 시장이 추석맞이 이벤트를 실시해 매출액은 36%, 시장방문 시민은 33% 증가했다.

특히, 금년 설에는 62개 전통시장에서 제수용품을 중심으로 최대 40%의 폭탄세일을 실시해 시민들로부터 호응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서울시 이종범 생활경제담당관은 "전통시장의 현대화사업이 어느정도 진행됨에 따라 점포 개보수 운영자금 지원, 맞춤형 경영컨설팅, 실무위주 교육 등 상인이 자생할 수 있는 지속적인 경영혁신사업을 추진하는 등 소프트웨어 분야 현대화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