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동수 금융위원장이 22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은행대형화 자체가 목표가 돼서는 안된다”며 최근 불거지고 있는 메가뱅크론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우제창 민주당 의원이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주식맞교환 방식으로 합병 계획을 밝힌 데 대한 의견을 묻자 진 위원장은 “메가뱅크는 어 내정자의 포부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다.
어윤대 내정자는 지난주 KB금융 차기 회장후보로 선임되면서 “은행권에도 삼성전자와 같은 대형은행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바 있다.
그는“한국이 아랍에미리트연합(UAE)의 원전을 수주할 때 UAE 정부는 세계 50위권 이내 은행의 공사지급보증서를 요구했지만 한국에는 이런 규모의 은행이 없어 결국 스탠더드 차터드 은행에 넘어갔다”는 점을 근거로 들며 메가뱅크론에 다시 불을 지폈다.
어윤대 내정자가 현재 가장 현실성 있는 시나리오로 KB금융과 우리금융의 조합(결합)을 가장 먼저 꺼내들었다.
이 시나리오는 현재 금융권에서도 ‘KB금융+우리금융’ 시나리오를 가장 현실성 있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KB금융과 우리금융이 합치면 자산 625조원대의 세계 50위권 내 메가뱅크가 탄생하게 된다. 지난 1·4분기 KB금융과 우리금융의 총자산은 각각 325조6000억원과 325조4000억원이다.
하지만 진 위원장은 이날 “(인수합병을) 한다고 해서 추진되는 문제는 아니다”며 “대형화, 인수 합병이 되려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이 있어야 한다”고 답해 전체적으로 회의적 입장을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이와 더불어 그는 “현재 대형은행 문제는 주요20개국(G20) 차원에서 논의중이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가야 한다”고 밝혔다.
또 은행이 규모보다는 경쟁력을 우선 가져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진 위원장은 우리은행 민영화 문제와 관련, “궁극적으로 시장에서 어떤 반응이 있는지가 가장 중요하다”며 “법상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조기 민영화, 금융시장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도록 돼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우리금융 민영화 작업은 상반기 중에 민영화 계획을 마련해 하반기 이후 우리금융지주의 민영화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현재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주요 매각 방안별 장단점을 비교한 뒤 국내외 민영화 사례와 국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논의하고 있다.
진 위원장은 “공적자금의 회수극대화 및 국내금융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공자위에서 다양한 방안을 열어두고 광범위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금융시장 발전의 청사진이 있느냐”는 자유선진당 임영호 의원의 질문에 진 위원장은 “시장이 청사진대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저희가 청사진을 갖고 그대로 끌고 가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따.
진 위원장은 저축은행의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에 대해서 “정부가 구조조정 기금을 투입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해결이 안된다”며 “앞으로도 감독을 강화해야 하지만 금융회사 자구노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G20 정상회담의 의제인 은행세 도입과 관련해서는 “은행세 문제는 G20안에서도 입장이 첨예하게 갈리는 문제라”라며 “현재 시점에서 결론을 내리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