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검찰,대우조선해양 연임 의혹 수사 확대…협력사 비자금 추적

검찰이 대우조선해양 협럭사 I공업에 대해 수사를 확대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지난 주 압수물의 양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분석을 마친 뒤 소환을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수사 과정에서 남 사장 로비 의혹에 대한 혐의가 발견되면 수사를 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대답이 덧붙여졌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검찰의 상징인 서울중앙지검이 작은 규모의 I공업을 비리 수사하는 것은 맞지 않으며 관할지역인 창원지청에서 충분히 수사할 수 있는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철저히 입단속을 하고 있는 사실로 중앙지검이 대우조선해양에 심중을 굳히는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검찰이 조심스러운 입장을 유지하는 것은 개인을 넘어서 정치권 차원의 대형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남 사장 개인 비자금의 사용처와 도착점이 천신일 세중나모회장과 대통령의 친익척이라는 점에 있다.

실제로 세중나모 회장의 자녀 3명이 I공업(15만주)과 I공업의 자회사인 G기업(2만3100주), G공업(2만100주)의 지분을 대거 보유 중이다. I공업은 대우조선해양의 협력업체이기 때문에 천 회장 자녀들의 보유 주식은 남 사장 연임로비의 대가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이에 따라 검찰은 대대적이고 기습적인 압수수색을 벌인 것처럼 앞으로도 수사력 집중에 신경쓰며, 의혹 규명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복안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이번 사건 관련 제보가 이미 지난해 인지돼 특수1부가 장기간 기초 수사를 벌인 점 ▲이 대통령의 기업비리 척결 의지 표명 이후 나온 첫 대형 수사라는 점 ▲내사종결되지 않고 압수수색 등 공개수사로 이미 전환된 점 등을 근거로 '수사팀의 해결의지가 강력해 '대형 사건'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번 수사가 검찰 정기인사 이후 '미제사건'을 정리하는 측면에서 시작된 점 ▲언론의 지속적인 보도로 수사가 공개된 점 등을 지적하며 검찰이 I공업 비리를 밝혀내는 수준에서 수사를 종결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한다.

검찰 관계자는 "할 때가 돼 시작한 수사"라며 "과거 특1부장이 이미 내사에 착수했고 미제사건 종결의 성격도 있지만, 현재로선 의혹일 뿐"이라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