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증권사들의 실적이 발표되면서 명암이 엇갈렸다.
5월 금리상승에 따른 채권손실과 금융위기, 선진국들의 경제지표 둔화조짐 속에서 증권사들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대체적으로 작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0회계연도 1분기(2010년4월~6월) 62개 증권회사의 영업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당기순이익은 480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786억 원에 비해 55.5% 감소했다. 이는 지난 분기 8591억 원에 비해서도 44.1% 감소한 수치다.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1.4%로 지난해 3.3%보다 1.9%포인트 감소했다. 이는 증권시장이 침체되면서 주가 하락으로 인해 보유주식 매매와 평가손실이 확대되고,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 관련 수지가 감소한 데 기인한다.
주식거래대금이 감소하면서 수탁 수수료 수입도 3654억 원 감소했다. 반면 자산총액과 같은 외형적인 규모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6월 말 증권회사의 자산 총계는 201조500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2% 증가했다. 이 중 채권보유 확대 등에 따른 유가증권의 증가(15조8000억 원)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부채는 166조4000억 원으로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 증가 등으로 지난해보다 17.1% 증가했다. 자본 총계는 이익잉여금 증가 등에 기인해 6.9% 늘어난 35조1000억 원으로 나타났다.
회사별로는 62개 사 가운데 49개 사가 흑자, 13개 사가 적자를 시현했다. 증권사별로는 대우증권이 606억원으로 가장 높은 순이익을 기록했고 이어 하나대투, 삼성증권,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우리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대신증권, 현대증권 등이 순익을 기록했다. 반면 유진투자증권이 578억원으로 가장 큰 적자를 기록했고 알비에스아시아, IBK투자증권 등이 뒤를 이었다.
◆대우증권, 가장 높은 흑자 기록
저조한 증권사들의 실적 발표 속에서 대우증권은 가장 높은 순이익을 달성했다. 비록 영업이익이 922억5500만 원으로 전기(1541억9300만 원) 대비 40.2%, 전년동기(1553억6600만 원) 대비 20.6% 감소했다. 그러나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평가손실과 거래 대금 감소라는 악재를 감안하면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채민경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분기와 비슷한 수준의 브로커리지와 IB, 자산관리 부문, 그리고 양호한 이자수익에도 불구하고, 금리 상승에 따른 채권평가손실과 Bond spread(채권 스프레드) 역전 현상으로 순상품운용수익이 전 분기대비 106억원 감소하였기 때문"이라며 "영업부문에서 양호한 실적을 시현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실적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하반기에는 브로커리지와 이자수익 등 핵심영업부문에서의 안정적인 이익을 바탕으로 전 부문에서 고른 수익 창출이 기대 된다"고 덧붙여 말했다. 대우증권은 2분기에 하이닉스 주식 60만주 매각에 따른 73억원과 대우캐피탈 관련 110억원의 일회성 이익 발생, 향후 대우인터내셔널 지분 매각까지 최소 800억원 이상의 추가 이익이 기대되어 견조한 실적 흐름은 지속될 전망이다.
박선호 KB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채권평가손실에도 불구하고 브로커리지, 이자손익 등 핵심이익 창출력이 지속되며, 증권주내 가장 높은 어닝 파워를 입증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저금리 및 유동성 확대 등 하반기 이후 주식시장으로의 자금 유입 개연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브로커리지 경쟁력을 통한 강력한 어닝 파워의 지속은 프리미엄 적용을 정당화시킬 것"이라며 "하반기 하이닉스, 대우 인터내셔널 매각 이익도 실적 개선의 안전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증권, 국내 1위 Wrap(랩)판매 증권사
삼성증권 역시 지난 5월 채권 금리 상승으로 채권 손실을 필할 수 없었다. 이밖에 금리스와프(IRS) 헤지 비용 증가, 인건비 상승, 지점 영업력 강화 등에 따른 판관비 증가, 법인세 170억 원 추가 납부 등이 순이익 규모를 축소시켰다.
삼성증권의 지난 1분기(4~6월) 순이익은 393억2200만 원으로 전기(762억2300만 원) 대비 48.41%, 전년 동기(798억100만 원) 대비 50.72% 줄었다. 영업이익은 712억800만 원으로 전기(1051억4200만 원) 대비 32.27%, 전년 동기(913억8100만 원) 대비 22.08% 감소했다. 반면 거래대금이 정체된 1분기 Wrap, ELS 등 WM수익 증대를 통해 증권사내 가장 높은 수수료수익을 기록했다.
삼성증권은 자산관리 수수료로 133억원을 기록해 증권사 중 가장 높은 수수료 수익을 기록했다. 박 연구원은 "증권사내 가장 높은 수수료 수익은 2분기 이후 이익안정성을 부각시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원재웅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증권은 국내 1위 Wrap판매 증권서로 향후 자산관리 수익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