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역점사업인 서해뱃길 조성사업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오승록 의원(민주당·노원3)은 26일 서울 태평로 시의회 본관에서 열린 제225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의에서 "서해뱃길 조성사업은 국제적 수상관광도시, 항구도시, 서울의 경쟁력 등을 이유로 추진돼 왔는데 속에 알멩이가 없는 허물에 지나지 않는다"며 "경제성도 없는 서해뱃길 조성사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이날 시의회는 해연결 한강주운사업의 일환으로 추진중인 여의도 종합터미널 조성·운영 및 국제·연안 관광선 운항 사업에 대해 낱낱이 지적했다.
서해연결 한강주운사업이 진행되면서 주위에서는 사업의 경제성과 실용성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특히, 70% 이상의 시의회 자리를 차지한 야당 시의원들이 민선 5기 출범 이후 서울시 주요 사업에 대해 본격적인 견제에 나섰다.
"서해뱃길 사업은 지역산업에 필요한 화물처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되고 있으나, 여객수송만을 전담하겠다"라고 서울시의 답변에 대해 오 의원은 "최근 여객터미널의 구조가 기존의 1선석에서 2선석(140m+135m)으로 변경된 것을 근거로 화물처리가 가능한 항만으로 조성하는 것이 아닌가"며 의혹을 제기했다.
서해연결 한강주운사업을 주관하는 한강사업본부는 경제적 타당성과 관련해 "크루즈를 이용할 수 있는 사람의 연봉은 6000만원으로 월평균 수입이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오 의원은 "서울시의 공식통계자료에 의하면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사람은 전체 서울시민 중 16%에 불과하다"며 "머지 84%의 시민들은 크루즈항 탑승이 그림의 떡에 불과한데 약 2,300억원의 세금을 쏟아부은 이 사업이 시민들에게 이로운 것이 뭐냐"”고 반문했다.
오 의원은 "국제크루즈 운행사업은 연간 25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는 것은 업체에서도 인정하고 있다"며 사업의 경제성을 지적한 뒤 "이를 메우기 위해 국내선 운항계획에서 제시한 연간 3만3천명에 대한 수요예측 또한 현재의 국내크루즈 관광객 1만명을 초과하는 것으로 타당성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 서해빗갤 사업은 늦어도 10년이면 중극 신흥 부자 관광객을 유치하는 '돈길조성사업이' 될 것이다"고 반박한 뒤 "서해뱃길 사업이 초기에는 적자겠지만 5년에서 늦어도 10년이 지나면 큰 수익을 얻을 것이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서울은 산업기능이 없어 서비스업에서 먹고 살 거리를 찾아 도시 경제성과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며 "서울 경제에서 관광업의 비중을 10% 미만에서 선진 도시 수준으로 끌어올려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서해뱃길 사업이 한강의 환경파괴나 공공 훼손 논란에 대해 오 시장은 "일정 부분에는 오해도 있고 보완책을 강구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항 여객터미널의 구조를 1선석에서 2선석(140m+135m)으로 변경한 것과 관련해 오 시장은 "국내선과 국제선용을 구분할 필요를 뒤늦게 발견했기 때문이며, 시장직을 걸고 여의도 서울항에서 화물처리를 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서해뱃길이 정부의 대운하부터 4대강 사업 등 일련의 정치적 갈등과 연관해서 잘못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며 "운하와 서해뱃길은 명백히 다른 사업이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