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납품단가 현실화돼야 大-中企 동반성장 가능

삼성·LG·현대차 등 대기업들이 기존의 대기업-중소기업간 수요-공급이라는 2차원적 협력을 뛰어 넘은 동반 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이에 중소업체 한 관계자는 "1차 협력업체뿐 아니라 2·3차 협력업체에 대해서도 배려하겠다는 것과 납품단가에 대한 대책이 지켜지면 중소기업에겐 큰 의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상생협력 강화 7대 실천 방안'을 발표하며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관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올 초 삼성전자는 업계 최초로 '협력사 지원펀드'를 도입, 최대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협력사의 설비투자·기술개발·운영자금 등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 주는 제도를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LG그룹도 협력사와 동반 성장을 위한 5대 전략과제를 제시하면서 펀드조성을 약속했다. LG전자에 따르면, 2·3차 협력업체도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는 연간 2500억 원 규모의 상생펀드를 9월 중 마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1차 협력사에 직접 대출해주는 금액도 지난해 140억 원에서 올해 700억 원으로 확대하는 등 실질적 자금 지원 규모를 기존 4200억 원에서 7400억 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도 펀드를 기반으로 한 협력사 지원을 위해 자금 1조1544억 원을 투자키로 했다.

그러나 정부와 여론의 압박에 의한 대기업들의 정책이 대중소 상생협력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가에 대한 의문은 제시되고 있다.

중소기업 한 관계자는 "눈에 들어오는 상생방안은 없었다"며 "무엇보다 시급한 것이 납품단가의 현실화인데, 이 부분이 빠졌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실제 대부분 대기업들 상생방안에 실질적인 '거래'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 가장 최근인 지난 달 27일 SK가 내놓은 상생방안 역시 ▲채용인원 확대 ▲사회적 일자리 확충 ▲협력사 경쟁력 강화 ▲제2미소금융 저변 확대 등은 그간 지속적으로 거론된 내용이다. 다른 대기업이 내놓은 방안도 마찬가지다.

중소기업계는 삼성·현대차·포스코 등이 제시한 '사급제'에 대해 "그나마 나은 방안"이라는 평가다. 사급제란 대기업이 주요 원자재를 직접 구매해 협력업체에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중앙회 기업협력팀 관계자는 "사급제는 중소기업을 단순한 임가공업체로 전락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기업들도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대기업 한 임원은 “대기업이 1, 2, 3차에 이르는 중소기업들을 모두 도와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는 점은 안타깝다”고 말했다.

일례로 삼성전자의 경우 국내 협력업체만 해도 2차까지 총 1만여 개 업체에 달한다. 3차 협력업체는 추산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다.

한편, 이현석 대한상공회의소 전무는 "중소기업들 사이의 하도급 비중이 65% 정도다. 이들의 문제가 더 심각하다”며 “납품단가를 보장해주는 것 역시 중소기업을 '온실 속의 화초'로 키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