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조직 내 성희롱 사건 발생 가능성도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04년 공공기관 성희롱 예방교육의 시행 의무화 이후 그 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백희영 여성가족부 장관은 지난 7일 '2009년도 공공기관 성희롱 방지조치 추진실적 점검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국가기관·지자체·공직 유관단체·학교 등 14634개 공공기관의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율은 총 96.7%로,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율 증가와 더불어 고충상담원 지정율이 1.1%, 기관장 참여율은 4.9% 높아지는 등 주요항목의 이행실적이 지속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예방 교육은 대상 기관의 97%인 14000여개 기관에서 연 1회 이상 실시하는 등 예방교육 의무 실시가 정착화 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기관장이 예방교육에 참여한 기관일수록 예방교육 참여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성희롱 예방교육 및 각종 방지조치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관장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 방지조치 부진기관(교육 미 실시기관, 평가점수 60점미만 기관)은 전체의 4.6%(673개 기관)로 국가 기관이 82개 기관인 5.6%가 부진기관을 차지하며 주로 중앙행정기관의 소속기관이 다수로 나타났다.
특히, 지방자치단체는 116개 기관, 24.3%로 부진기관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부진기관에 대한 관리자 특별 교육을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에서 오는 10월 실시할 예정이다.
여성가족부 백희영 장관은 추진실적 점검 결과를 국무회의에 보고하여 "공직자와 사회지도층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할 것"이라며 “소속·산하기관에 대한 이행 관리를 강화해 줄 것”을 요청했다.